솔트웨어 AI서비스본부 박창우 이사
[아이티데일리] 2024년 본격적인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의 막이 올랐다.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생성형 AI 시장 경쟁의 주도권을 쥐고자, 혹은 새로운 비즈니스 활로를 모색하고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개발과 솔루션 구축을 위해 고성능 컴퓨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요성 역시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생성형 AI의 확산이 국내 클라우드 산업 성장의 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리 정부도 ‘K-클라우드 프로젝트’ 등의 사업을 추진, 부처·공공기관의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생성형 AI, 클라우드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본지(컴퓨터월드/아이티데일리)는 지난달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각계 클라우드 전문가 및 국내 대표 기업들과 함께 생성형 AI 트렌드를 기회로 삼아 클라우드 산업이 자생력을 갖추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생성형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을 주제로 ‘제7회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솔트웨어의 박창우 AI서비스본부 이사는 ‘생성형 AI의 최근 활용 사례와 도입 전략 인사이트’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박창우 이사는 생성형 AI 주요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박창우 이사에 따르면, 고객 경험 강화를 위해 리테일 산업에서는 URL 내부 데이터를 해석해 생성형 AI를 통해 숏폼을 제작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사이트 체류 시간을 확보하고 있다.
솔트웨어는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 단계를 △백 오피스(Back Office) △프론트 오피스(Front Office) △코어 비즈니스(Core Business) △뉴 프로덕트/서비스(New Product/Service) 등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백 오피스와 프론트 오피스 단계에서는 일상적인 측면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적용되고 있으며, 코어 비즈니스와 뉴 프로덕트/서비스 단계에서는 수익 모델 창출에 역점을 두며 활용되고 있다.
이어 박창우 이사는 솔트웨어의 생성형 AI 지원 전략을 소개했다. 박창우 이사는 “솔트웨어는 생성형 AI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GPU부터 클라우드 인프라, LLM 모델 등을 통합해 제공하고 있다. 솔트웨어만의 특장점으로는 기업 상황에 적합한 파운데이션 모델(FM)을 선정해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생성형 AI를 구축하도록 돕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핏클라우드 AI(FitCloud AI)’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면서 “하반기에는 온프레미스 기반 sLLM 구축도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①] “생성형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②]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장 전망 및 전략: 칵테일 클라우드를 활용한 효율적인 GPU 관리”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④] “제너레이티브 AI 기반 고효율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리 전략”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⑤] “신속하고 안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및 SaaS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⑥] “구축사례를 통해 본 콤텍시스템의 AI서비스와 GenAI 기술 및 서비스”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⑦] “한컴의 디지털 혁신: 클라우드와 AI가 이끄는 미래”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⑧] “인스웨이브가 제시하는 금융 클라우드 패키지”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⑨] “클라우드 환경에서 생성형 AI의 미래 전략과 AWS 생성형 AI 기술과 사례”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 설문분석] “AI 구축 프로젝트 비중 41%…클라우드 시장에도 AI 바람 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