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김은주 지능기술인프라본부장
[아이티데일리] 2024년 본격적인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의 막이 올랐다.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생성형 AI 시장 경쟁의 주도권을 쥐고자, 혹은 새로운 비즈니스 활로를 모색하고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개발과 솔루션 구축을 위해 고성능 컴퓨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클라우드 인프라의 중요성 역시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생성형 AI의 확산이 국내 클라우드 산업 성장의 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리 정부도 ‘K-클라우드 프로젝트’ 등의 사업을 추진, 부처·공공기관의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생성형 AI, 클라우드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본지(컴퓨터월드/아이티데일리)는 지난달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각계 클라우드 전문가 및 국내 대표 기업들과 함께 생성형 AI 트렌드를 기회로 삼아 클라우드 산업이 자생력을 갖추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생성형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을 주제로 ‘제7회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생성형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을 주제로 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김은주 지능기술인프라본부장의 키노트 발표로 시작됐다.
김은주 본부장은 클라우드와 AI를 실제 전장에서 활용하는 미국 국방부 합동지휘통제 전략 ‘JADC2’를 소개했다. 미국 국방부는 약 10조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국방을 위한 클라우드 네트워킹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특히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등 민간기업들의 멀티 클라우드를 도입했다. JADC2의 클라우드상에서는 AI가 실시간으로 전장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식별, 그 처리 결과를 다시 군 병력 디바이스에 공유하는 지능형 전투 체계가 구축됐다.
김은주 본부장은 “AI, 빅데이터, 클라우드는 유기적인 관계다. 국방뿐 아니라 스마트카, 스마트시티, 나아가 의료와 복지까지 어느 분야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로 전송하며 AI가 분석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형식의 ‘AI 일상화’ 서비스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은주 본부장은 AI 시대 이후 제기되고 있는 주요 이슈들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AI를 활용할 때 발생하는 AI 데이터센터의 큰 전력 소모 문제다. 김은주 본부장이 발췌한 조사에 따르면, AI 데이터센터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은 2022년 대비 향후 2026년에는 8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 번째는 AI가 크리티컬 비즈니스에도 도입되면서 대두된 속도 문제다. 이와 관련, 김은주 본부장은 국제 우주정거장에 HPE 스페이스본 컴퓨터가 탑재된 사례를 소개했다. 우주 데이터를 지구로 더욱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엣지(Edge) 클라우드가 우주정거장에 설치된 사례로, 엣지 클라우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AI가 직접 분석한 후에 분석된 결과와 중요 인사이트만을 지상으로 전송하는 ‘우주-지구 연결 연합학습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은주 본부장은 “클라우드 기반 AI 활용은 수직적 연결과 수평적 연결이라는 2가지 트렌드가 공존하고 있다. 다가오는 일반인공지능(AGI) 시대, AI 모델이 커지고 토큰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집중화·대형화되고 있다. 동시에 온디바이스 AI 트렌드로 인해 분산화·경량화되고 있다”며 “이처럼 미래 클라우드는 분산과 집중이 공존하는 아키텍처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코어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온디바이스 AI와 엣지 AI의 수직적 연결, 그리고 온프레미스 AI,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 AI, 멀티·하이브리드 활용을 통한 수평적 연결 등 비즈니스에 따라 다양한 클라우드·AI 활용 형태를 보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②]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장 전망 및 전략: 칵테일 클라우드를 활용한 효율적인 GPU 관리”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③] “생성형 AI의 최근 활용사례와 도입 전략 인사이트”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④] “제너레이티브 AI 기반 고효율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리 전략”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⑤] “신속하고 안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및 SaaS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⑥] “구축사례를 통해 본 콤텍시스템의 AI서비스와 GenAI 기술 및 서비스”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⑦] “한컴의 디지털 혁신: 클라우드와 AI가 이끄는 미래”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⑧] “인스웨이브가 제시하는 금융 클라우드 패키지”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⑨] “클라우드 환경에서 생성형 AI의 미래 전략과 AWS 생성형 AI 기술과 사례”
- [2024 클라우드 컨퍼런스 설문분석] “AI 구축 프로젝트 비중 41%…클라우드 시장에도 AI 바람 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