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와 백업 복구 동시 진행, 정부·관련 사업자 공동 대응”
[아이티데일리] 행정안전부(행안부)는 14일 오전 11시 기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대표 홈페이지’ 복구를 끝으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센터 내 모든 복구 대상 시스템이 정상화됐다고 발표했다. 또한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존에서 복구된 3개 시스템을 포함해 총 696개 시스템이 복구됐다고 밝혔다. 기존에 완료 목표였던 11월 20일보다 일주일가량 앞당긴 시점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시스템 등급별로 1등급의 복구율은 100%(40개 모두 복구 완료)이며 △2등급은 68개 중 67개(98.5%) △3등급 261개 중 257개(98.5%) △4등급 340개 중 332개(97.6%)가 복구 완료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신속한 정상화를 위해 스토리지와 백업 복구를 동시에 진행하고, 먼저 복구된 시스템부터 단계적으로 개시했다”며 “국정자원 인프라 담당자와 각 기관의 응용 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진행 상황을 수시로 공유해 인프라 구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계자는 “2025년 장비 도입사업에서 납품 예정인 장비를 우선 적용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관계 부처 및 유지관리 사업자, 장비 제조사 등이 밤낮없이 현장 문제 공동 대응해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현재 16개 시스템이 대전센터에서 대구센터로 이관되는 상황이며, 이 중 3개 시스템은 복구가 완료됐다. 대전센터 내 복구 시스템과 대구센터 복구 시스템 3개를 합해 총 696개 시스템이 복구됐으며, 복구율은 98.2%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대구센터로 이전해서 복구하는 잔여 13개 시스템도 연내 복구 완료를 목표로 조속히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화재 복구를 위해 지난 10월 21일 국무회의에서 전산장비 구매·임차 비용 1,303억 원, 기반 시설 복구비 156억 원, 인건비 63억 원 등 총 1,521억 원 규모의 비용을 긴급 상정해 의결한 바 있다.
이어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는 추가 예비비 261억 원이 의결됐다. 이 가운데 196억 원은 대구센터 PPP 존 이전 및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이용료, 65억 원은 부처별 복구 비용 보전을 위해 편성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