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복구율 97.2% 기록, 민간 클라우드 확대 기대

[아이티데일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대전센터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전산망이 복구율 97.2%를 달성했다. 지난 10일 오후 5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중 689개(97.2%)가 복구됐으며, 정부는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존으로 일부 시스템을 이관해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무회의에서 복구비와 클라우드 전환 비용 등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 예비비 261억 원이 의결되면서, 정부는 후속 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편 지난 10월 10일 이재명 대통령과 행정안전부 윤호중 장관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 현장을 방문했다. (사진=대통령실)
지난 10일 오후 5시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운영이 중단됐던 전체 709개 시스템 중 689개(97.2%)가 복구됐다. 한편 지난 10월 10일 이재명 대통령과 행정안전부 윤호중 장관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 현장을 방문했다. (사진=대통령실)

1등급 시스템 100% 복구 완료, 주요 시스템 정상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10일 오후 5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중 689개 시스템이 복구되면서, 복구율 97.2%를 달성했다.

새로 복구된 시스템은 △고용노동부 노사누리 △개인정보 접속 이력 관리 시스템 △행안부 클라우드 기록관리시스템(CRMS) △정보자원관리시스템 등이다.

현재 1등급 장애발생시스템 40개 중 40개 모두 복구됐으며, 2등급 68개 중 66개(97.1%), 3등급 261개 중 252개(96.6%), 4등급 340개 중 331개(97.4%)가 복구됐다. 

대구 PPP 이관 ‘재구축’ 개념 접근, 민간 클라우드 확대 필요 

당초 정부는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을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존으로 이관할 계획이었으나, 현재 16개 시스템이 대전센터에서 대구센터로 이관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초기에는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 PPP 존으로 이관할 계획이었으나, 실제 시스템의 가동 가능성과 복구 속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수량이 조정됐다”며 “향후 클라우드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시스템 안정화가 이뤄지면 추가 이전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16개 시스템은 대부분 11월 중 대구센터 PPP 존으로 이전 완료될 예정이며, 늦어도 12월 연내에는 마무리될 것”이라며 “이번 이전의 경우 대전센터의 기존 시스템을 단순히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재구축 개념으로 접근하는 시스템이 많아 각 기관과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 간 협의를 통해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공공 부문에서도 민간 클라우드 활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어져 왔고, 인공지능전략위원회 등에서도 복구 체계와 이중화 구축을 포함한 큰 방향을 그리고 있다”며 “이번 복구 과정을 계기로 재해복구(DR) 체계 강화와 함께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기조 아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NHN클라우드는 지난 10일 2025년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대전센터에서 대구 PPP로 이관되는 16개 시스템 중 5개 시스템을 자사 PPP 인프라에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구센터 PPP 존에 입점한 또 다른 업체인 삼성SDS와 KT클라우드의 경우 구축 수량은 아직 확인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무회의서 예비비 추가 의결…지원 본격화 

정부는 11일 국무회의에서 국정자원 화재 복구와 관련한 추가 예비비 261억 원 규모의 지출안을 의결했다. 이 가운데 대구센터 PPP 존 이전 및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비용과 클라우드 이용료 등에 196억 원을 배정했다.

이번에 의결된 예비비는 대구센터 PPP 존으로 이관되는 16개 시스템 중 15개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소방청의 건축물 소방안전정보 통합관리시스템 △행정안전부 공공시설물 내진보강정보 관리시스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인 행정처분 시스템 △기후에너지환경부 통합계정관리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이번 국무회의를 통해 개별 부처에서 화재 복구를 위해 투입하는 비용을 자체 재원(이·전용 등)으로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이를 보전하기 위한 예비비 65억 원을 편성했다. 사진은 관련 시스템 표. 
이번 국무회의를 통해 개별 부처에서 화재 복구를 위해 투입하는 비용을 자체 재원(이·전용 등)으로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이를 보전하기 위한 예비비 65억 원을 편성했다. 사진은 관련 시스템 표. 

또한 이번 국무회의에서는 개별 부처에서 화재 복구를 위해 투입하는 비용을 자체 재원 등으로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이를 보전하기 위한 예비비도 65억 원을 편성했다.

앞서 정부는 10월 21일에 16개 시스템 중 G드라이브 시스템 관련 예비비를 의결한 바 있다. 더불어 △전산장비 구매·임차 비용 등 1,303억 원 △기반 시설 복구비 156억 원 △인건비 63억 원 등 1,512억 원을 국무회의에서 긴급 상정해 의결했다.

한편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는 지난 9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를 구성해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후속 대책을 마련하고, 11월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