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넥스트 레벨 AI’ 개최…‘엑스빌더6 AI젠’ 등 주요 솔루션 선봬
[아이티데일리] 토마토시스템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발 도구 ‘엑스빌더(eXBuilder)’ 등 주요 솔루션에 AI를 접목하는 한편 서비스 신뢰도 제고로 혁신을 선도한다는 목표다.
토마토시스템은 16일 서울 역삼동 GS타워 아모리스컨벤션에서 ‘넥스트 레벨 AI(NEXT LEVEL AI)’를 개최하고 이 같은 사업 비전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AI 기술로 강화된 솔루션과 비즈니스 도입 전략을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최근 토마토시스템은 조길주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본사를 서울 강남구 선릉으로 이전하며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나아가 AI를 중심으로 솔루션을 고도화함으로써 혁신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에 나서고 있다.
조길주 대표는 “전 세계는 거대한 변곡점을 맞았다. AI는 사회,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근본부터 바꿔 나가고 있다”며 “토마토시스템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책임 있는 혁신의 선도자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AI로 진화한 토마토시스템의 솔루션이 소개됐다. 대표 솔루션인 ‘엑스빌더6 AI젠(AIGen)’은 거대언어모델(LLM)과 결합해 코딩 경험이 없는 비전문가도 손쉽게 UI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용자가 자연어로 작성된 문서나 회의 스케치, 이미지 등을 입력하기만 하면 솔루션이 실시간으로 UI 화면을 설계하고 소스코드까지 자동 생성한다.
대학 ERP ‘엑스캠퍼스(eXCampus)’와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 ‘아이큐봇(AIQBot)’도 AI로 업그레이드된다. 엑스캠퍼스는 학생의 전공, 학점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진로를 안내하며, 학습 이해도를 평가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코칭 서비스도 지원할 예정이다.
아이큐봇은 일반 웹 환경, 다양한 UI 도구를 모두 지원하는 범용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으로 진화한다. 토마토시스템은 분야별로 다양 요구 사항에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아이큐봇과 생성형 AI를 결합해 제공할 계획이다.
행사에서는 토마토시스템의 기술이 실제 공공 부문에 적용된 사례도 소개됐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공공·민간 부문의 사회복지 서비스를 위해 서버 1,200여 대를 운영하고 있다. 갈수록 대형화되는 시스템을 관리하고자 AI를 접목해 운영 효율성을 향상하고 있다.
토마토시스템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 LLM 기반 UI/UX 개발 도구와 운영 환경을 구축해 자동화된 시스템 관리를 지원했다. 또한 온앤온정보시스템, 메타빌드, 플로우컨트롤과 협력 체계를 구성해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의 AI 전환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들 기업도 ‘넥스트 레벨 AI’에 참여해 보유한 기술 역량과 사업 성공 사례 등을 소개했다.
조길주 대표는 “토마토시스템은 2000년 창립 이래 25년간 변화를 두려워 않는 도전 정신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IT 산업 발전에 기여해 왔다”며 “AI 시대에도 혁신의 최전선에 서서 미래를 개척하는 회사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