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공모 기한 내 신청 기업 한 곳도 없어 유찰
정부 계획과 사업 수행 기업 현실 엇박자

[아이티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의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1차 공모가 응찰 업체의 부재로 지난달 30일 유찰됐다. 정부는 국가계약법에 따라 이달 2일부터 10일 이상의 기간을 두고 동일한 조건으로 재공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정부는 AI 연구개발 환경 조성과 국내 AI컴퓨팅 생태계 육성을 목표로, 지난 1월 22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실행계획(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민·관 합작투자를 통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대출 등 자금 차입을 통해 대규모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SPC는 공공 51%, 민간 49%의 지분 구조로 설립되며, 민간이 경영을 주도하게 된다.

총 사업 규모는 6년간 공공 출자 최대 2천억 원, 자본금 총 4천억 원 내외로 책정됐다. 사업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며, 민간 참여자는 2027년 센터 개소를 목표로, 국내외 최신 AI 반도체를 조합해 1엑사플롭스(EF) 이상의 연산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 

초기에는 GPU 중심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되, 2030년까지 국산 AI반도체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리는 것 또한 주요 목표다. 그러나 이번 1차 공모가 유찰되면서 사업 일정 전반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사업 유찰 원인을 놓고 업계는 다방면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먼저 공공 51%, 민간 49%라는 SPC의 지분 구조다. 최근 AI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부담은 높은데, 의사결정권은 정부 측에 무게가 실린다. 결정적으로 대부분의 정부 사업이 그렇듯 수익률도 낮을 것으로 보여 매력 없는 사업이었다는 평가다.

GPU 확보 문제도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국제적으로 GPU 확보전이 펼쳐지는 가운데 엔비디아의 신제품 출시 등 문제까지 겹쳐 시장이 불확실한 상황이라 정부가 명기한 목표 달성을 장담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여기에 국산 AI 반도체를 일정 비율 이상 도입해야 한다는 조건 역시 부담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리스크들에도 불구하고, 사업 실패 시 대부분의 재정적 책임을 민간이 져야 하는 관련 조항 및 사업 구조도 문제로 꼽힌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가AI컴퓨팅센터가 구축된다 하더라도 사실 사용률이 얼마나 될지는 회의적”이라면서 “GPU 수천 장이라는 숫자 달성에 급급할 게 아니라 장기적인 산업 생태계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재공고는 1차 공모와 달리 신청 사업자가 한 곳이라도 있을 경우 유찰 없이 진행된다. 이는 1차 모집에서는 단독 신청일 경우에도 유찰 처리됐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