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최영준 솔루션즈 아키텍트

[아이티데일리] 생성형 AI가 확대되면서 기반 인프라로 자리매김한 클라우드 역시 황금기를 맞이했다. 특히 확장성이 용이한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수집·저장하고, 생성형 AI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인사이트를 추출하며, 비즈니스에 민첩하게 접목하는 일련의 과정이 비즈니스 성패를 결정짓는 시대가 됐다. 국내외 기업들 역시 클라우드와 생성형 AI를 통해 비즈니스를 혁신하고자 많은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올해로 40주년을 맞이한 컴퓨터월드/아이티데일리는 클라우드 산업이 생성형 AI라는 트렌드를 기회로 삼아 자생력을 갖추고 비즈니스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제8회 2025 클라우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기술 정보, 시장 및 사업 인사이트, 각종 솔루션과 활용 사례를 등이 공유된 현장 속으로 들어가 본다.
 

 

행사의 대미는 AWS 최영준 솔루션즈 아키텍트가 장식했다. 최영준 솔루션즈 아키텍트는 ‘AWS 생성형 AI: 개발과 업무의 지능형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최영준 솔루션즈 아키텍트는 먼저 생성형 AI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했다. 최영준 아키텍트는 “대항해시대와 비슷한 대생성형 AI 시대가 찾아왔다. 직업군 상관없이 AI는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사실 생성형 AI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일반적으로 머신러닝 쪽에서는 GAN이라고 불렸다. 이 GAN이 인간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 최근 생성형 AI라는 이름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것”이라면서 “근래는 일단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또 이 데이터를 통해 모델의 사이즈 역시 굉장히 커졌다. 해당 모델의 크기가 커지면서 기반 모델, 파운데이션 모델 등 여러 용어로 부르고 있다. 이렇게 많은 모델과 대용량의 데이터를 돌려야 하기에 클라우드 컴퓨팅 역시 필요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 아키텍트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특히 생성형 AI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속도도 향상시키고 있다. 지난해 RAG와 관련한 이슈가 많았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는 AI 에이전트를 논하고 있다. 또 이제는 더 나아가 모델 간 연동 표준인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와 관련한 이슈가 부각된 상황”이라면서 “여러 보고서들에 따르면, 2026년에는 국내 기업들의 80%가 생성형 AI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를 지원하고자 AWS는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AI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데이터 분석과 AI를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인 ‘세이지메이커 유니파이드 스튜디오’를 출시하기도 했다. AI 개발에 필요한 모든 도구를 한데 모은 ‘AI 개발 종합선물세트’와 같다. 데이터 저장, AI 거버넌스 기능까지 다 포함돼 개발자들이 훨씬 편리하게 AI 모델을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다.

AWS 최영준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최영준 솔루션즈 아키텍트

최영준 아키텍트는 AWS의 대표 생성형 AI 서비스인 ‘아마존 베드록’과 ‘아마존 Q 디벨로퍼’도 소개했다. 먼저 아마존 베드록은 다양한 AI 모델을 한 곳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 서비스다. AI 21 랩스, 아마존 사이언스, 엔트로픽, 메타 등 다양한 기업의 모델들을 API 키만 받으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최영준 아키텍트는 “현재 AWS 베드록 마켓 플레이스에는 100개 이상의 모델이 있다. 이 중에서 언어이해 모델로는 ‘클로드’와 ‘노바’가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아마존 노바’는 마이크로, 라이트, 프로 등 세 가지 모델이 있다. 마이크로는 가장 작고 빨라서 간단한 작업에 적합하고, 프로로 갈수록 모델 크기가 커져서 더 복잡한 추론이 필요한 작업에 유리하다. 클로드 모델은 긴 텍스트를 처리하는 데 강점이 있다.

다음으로 AWS의 아마존 Q 디벨로퍼도 소개했다. 아마존 Q 디벨로퍼는 생성형 AI가 코딩을 도와주는 ‘AI 코딩 비서’와 같은 서비스다. 계산기처럼 개발자들이 코딩 작업을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코드 생성, 테스트, 리뷰 등 다양한 기능은 물론 레거시 코드 변환 기능도 제공한다. ‘Q Dev’라는 에이전트는 코드 테스트와 버그 발견을 자동으로 수행해서 개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최영준 아키텍트는 “Q 디벨로퍼는 자바 8 또는 11 버전의 코드를 자바 17 버전으로 자동 변환한다. 변환 계획 수립부터 빌드 오류 수정, 테스트까지 자동으로 수행해 개발자가 손쉽게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최영준 아키텍트는 “AWS는 인프라부터 도구, 애플리케이션까지 생성형 AI를 위한 모든 것을 제공한다. 다양한 모델을 활용할 수 있고 혁신적인 사례도 많으며 무엇보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