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검침 인프라 암호체계 고도화…향후 인증 PKI로 기술 영역 확대
[아이티데일리] 인공지능(AI) 보안 기술 전문기업 샌즈랩(대표 김기홍)은 한전KDN, 케이사인과 함께 ‘2025년 양자내성암호(PQC) 시범 전환 지원’ 사업을 수주했다고 16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양자 컴퓨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기존 암호체계의 안전성 위협에 대비하고자 마련됐다. 에너지, 의료, 행정 등 3개 분야별로 정보 시스템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전환하고자 하는 기업, 기관을 지원한다.
양 기관은 이를 통해 암호체계 시범 전환을 통해 구체적인 절차, 적용 사례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나아가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상호 운용성 등 기술 검증으로 전 과정에 대한 양자내성암호 생태계 구축의 토대를 수립할 계획이다.
한전KDN은 주관사로서 샌즈랩, 케이사인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에너지 분야에서 ‘지능형 검침 인프라(AMI)’에 대한 양자내성암호 시범 전환 및 검증을 수행한다. AMI는 국민 전체의 전력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하고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개방형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이 공격을 입을 시 국가 인프라 전반에 연쇄적 마비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전KDN은 이번 사업에서 지능형 검침 인프라의 양자내성 전환 실증 환경을 구축한다. 케이사인은 기존 레거시와의 호환성 유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증 시스템을, 샌즈랩은 암호전환 관리 시스템 개발을 담당한다.
컨소시엄은 시범 사업을 토대로 국가 공동 인증, 사설 인증 PKI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데도 기여할 방침이다.
샌즈랩 김기홍 대표는 “전력 에너지는 국민 생활과 산업 발전에 물과 공기와도 같은 중요한 부분인 만큼 기업의 신뢰도와 기술력을 동시에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사 AI 네트워크 탐지 및 대응(NDR) 솔루션 ‘MNX’로 향후 산업별 양자내성암호 전환 모니터링 표준을 수립하고, 나아가 전환을 지원하는 보안 평가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