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이매트릭스 배영근 대표

[아이티데일리] 챗GPT를 위시로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기업들은 비즈니스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자 생성형 AI 도입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도 생성형 AI를 국내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사업을 펼치며 확산의 마중물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학습된 데이터를 토대로 결과물을 생성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도입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과 저장, 모델 학습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체계화하는 등 데이터 전략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지(컴퓨터월드/IT DAILY)는 2024 데이터 컨퍼런스의 주제를 ‘생성형 AI와 빅 데이터 + α’로 설정하고,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에게 생성형 AI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수집, 저장, 학습 등 제반 과정부터 생성형 AI에 대한 심도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데이터 컨퍼런스 현장으로 들어가 본다. 

 

비아이매트릭스 배영근 대표는 ‘AI가 가져올 데이터 분석 업무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배영근 대표는 데이터 분석에 초점을 맞춰 생성형 AI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배 대표는 노코드·로우코드(LCNC) 트렌드를 소개했다.

배영근 대표는 “최근 AI 시대가 도래하며 코딩 작업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특히 코딩 작업을 완전하게 배제할 수 있는 노코드보다는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적극 사용되고 있는 로우코드가 아직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생성형 AI 등장 이후 로우코드를 넘어 노코드로 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생성형 AI와 로우코드를 함께 활용한다면 시간 절약, 개발 생산성 향상, 비용 감소, 운영 효율성 증대 등 기업 및 기관의 업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아이매트릭스 배영근 대표
비아이매트릭스 배영근 대표

이와 함께 배 대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돕는 자사 ‘지매트릭스(G-MATRIX)’ 솔루션을 소개했다. 비아이매트릭스는 오랜 기간 개발해 온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솔루션 ‘지매트릭스’에 AI를 접목해 자연어 기반 프롬프트로 편리하게 데이터를 찾고 손쉽게 차트,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하는 기능을 구현했다.

지매트릭스는 크게 로우코드와 노코드(No Code) 형태로 구성된다. 원하는 데이터를 질의응답을 통해 빠르게 찾는 비정형 업무에는 노코드가, 고정된 양식에 원하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는 로우코드가 효과적이다. 배영근 대표는 “노코드 기능이 AI를 만나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람이 개입하는 로우코드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며 “비아이매트릭스는 두 가지를 모두 제공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업무를 지원한다”고 말했다.

지매트릭스는 지난해 오픈AI(OpenAI)의 GPT 엔진을 연동해 자연어 기반 데이터 조회 및 2차 산출 기능을 제공한다. 지난해 12월에는 데이터 추출 및 분석에 최적화된 자체 거대언어모델 MX-7B를 개발해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을 모두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한 단계 성장했다.

배영근 대표는 “향후 기업들은 데이터 기반 예측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아이매트릭스는 여러 기업의 수요 예측과 관련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협업 플랫폼까지 아우르는 방향으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BI, AI에서 CI(Collaboration Intelligence)로 IT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는 과정에 있다. 비아이매트릭스는 AUD 플랫폼과 지매트릭스를 기반으로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