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데이터마이닝학회 김성범 회장(고려대학교 AI 연구소장)

[아이티데일리] 챗GPT를 위시로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기업들은 비즈니스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자 생성형 AI 도입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도 생성형 AI를 국내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사업을 펼치며 확산의 마중물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학습된 데이터를 토대로 결과물을 생성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도입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과 저장, 모델 학습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체계화하는 등 데이터 전략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지(컴퓨터월드/IT DAILY)는 2024 데이터 컨퍼런스의 주제를 ‘생성형 AI와 빅 데이터 + α’로 설정하고,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에게 생성형 AI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수집, 저장, 학습 등 제반 과정부터 생성형 AI에 대한 심도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데이터 컨퍼런스 현장으로 들어가 본다. 

 

2024 데이터 컨퍼런스는 한국데이터마이닝학회 김성범 회장(고려대학교 AI 연구소장)이 축사를 진행하며 포문을 열었다. 김성범 회장은 “우리나라의 AI 기술은 다른 국가에 비해 뒤처지지 않는다. ICT 선진국에 AI 기술이 종속되지 않도록 AI 서비스 공급 기업은 물론 AI를 도입하려는 기업 그리고 AI 활용을 위한 데이터 준비 기업 등 여러 기업들의 관심과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데이터마이닝학회 김성범 회장(고려대학교 AI 연구소장)
한국데이터마이닝학회 김성범 회장(고려대학교 AI 연구소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