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커뮤니케이션, SK컴즈, NHN 모두 서비스 종료


▲ 한때 중소 개발자의 희망으로 떠오르며 게임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줬던 PC기반 소셜게임이 결국 5년을 넘기지 못하고 스마트폰에 밀려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사진은 다음커뮤니케이션 '다음 소셜게임 서비스' 종료 공지문





#지난 2009년 SK커뮤니케이션즈를 시작으로 NHN한게임, 다음커뮤니케이션이 뛰어들며 화려하게 비상했던 PC기반 소셜게임 플랫폼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지난 3일 '다음 소셜게임 서비스'를 오는 8월 30일 종료한다고 밝혔다. 캐쉬 상점은 6월 7일부터 종료되며 개별 소셜게임에 대한 환불은 추후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네이트, 네이버도 소셜게임 서비스를 종료했다.

SK커뮤니케이션즈는 소셜게임 서비스인 '싸이월드 앱스토어'의 모바일 버전 '싸이앱스'를 지난 달 종료했고, NHN은 웹 기반 소셜게임 플랫폼 '네이버 소셜앱스'를 지난 달 31일 종료했다.

네이버는 기존에 운영하던 소셜 게임 중 '아이러브커피' 등 일부만 '네이버 게임'에 연동시켰다.

PC기반 소셜게임은 한때 웹게임 플랫폼을 위협하는 게임업계의 새로운 플랫폼으로까지 주목받았다.

웹 게임은 경쟁하고 싸우는 방식의 게임이 대부분이었지만 소셜게임은 친구를 많이 확보하고 서로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돼 차별점이 분명했다.

특히 아기자기하게 꾸미는 기능이 많아 여성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피버스튜디오가 개발한 '에브리타운'은 월 매출 2억원 이상을 달성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SK컴즈 싸이월드 앱스토어가 회원수 500만명에 누적 매출액 100억원을 돌파하는 등 활황세를 나타냈으며 100여개 개발사에 5000여명이 넘는 개발자들이 참여해 200여종에 이르는 소셜 게임을 내놓기도 했다.

이처럼 SK컴즈가 소셜게임 플랫폼에서 대박을 내자 NHN 한게임과 다음커뮤니케이션도 뒤늦게 플랫폼 사업에 뛰어들며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 3개 업체가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2012년을 기점으로 스마트폰 유저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점차 PC기반 소셜게임보다는 모바일 소셜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위기가 찾아왔다.

이용자들은 인터넷 접속만 가능하면 언제 어디서나 게임을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소셜게임에 큰 관심을 드러냈고 카카오톡이 모바일 소셜게임 플랫폼 사업자로 본격적으로 뛰어들자 PC기반 소셜게임은 더이상 힘을 쓸 수 없었다.

한때 중소 개발자의 희망으로 떠오르며 게임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줬던 PC기반 소셜게임은 결국 5년을 넘기지 못하고 스마트폰에 밀려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내년부터 PC방에서 흡연이 사실상 금지된다.

보건복지부는 청소년들이 자주 이용하는 'PC방'을 전면 금연구역을 포함 시켰지만 PC방 업계가 강력반발하면서 시행을 내년으로 늦췄다.

PC방업계는 보건복지부의 정책 의도는 이해하지만 매출 하락 등의 이유로 전면 금연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복지부는 "PC방은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장소이고, 장시간 머무는 장소다. 그간 흡연구역과 금연구역으로 나뉘어 운영되어 왔는데, 간접흡연피해 예방에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며 PC방 전면금연을 실시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흡연실이 아닌 곳에서 흡연하는 이용자에게는 최대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 PC방 내 금연구역 표시를 하지 않을 경우 PC방 운영자에게 최대 500만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계도기간은 올 12월 31일까지다. 계도기간 중에는 처벌을 위한 단속보다는 금연구역표지 부착, 흡연실 설치기준 준수, 금연구역 흡연자 계도 등에 집중한다.

그러나 PC방 업계에서는 전면금연은 업주들에게 너무 가혹한 처사라고 하소연한다. 실질적으로 PC방 매출을 올리는 이용자들이 흡연자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PC방에서 매출을 올리는 것은 PC 이용료가 아니다. 흡연자들이 PC를 이용하다가 사먹는 과자, 음료수, 라면 등의 매출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며 "흡연자들이 PC방을 떠나면 망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말했다.

PC방 업계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은 이해하지만 PC방을 운영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를테면 칸막이 시설로 완벽하게 흡연을 차단하는 등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