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 성과 공유 및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아이티데일리] 국내외 상용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 성과를 공유하는 ‘제11회 글로벌 상용SW 명품대전’이 지난 11일 개최됐다. 한국상용소프트웨어협회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정부의 ‘AI 대전환’과 ‘피지컬 AI 활성화’ 국정 과제 실현을 지원하고,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 성과 및 해외 시장 진출 촉진을 위해 마련됐다.
올해 행사에서는 국내외 기업들이 보유한 AI, 데이터, 클라우드, 보안 및 산업융합 영역을 아우르는 최신 기술이 발표·전시되었으며, 실제 도입 성과와 사례들이 공유되며 높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소프트웨어를 선정하는 ‘글로벌 명품 상용SW 시상식’도 함께 진행돼 큰 주목을 받았다.
이데아텍, AI 전환의 핵심은 ‘AI iPaaS’…AI 레디 데이터와 시너지 기대
이데아텍은 “AI 혁신 구현을 위한 데이터 연계 자동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를 맡은 오준서 부대표는 “AI 시대의 경쟁력은 단순한 시스템 연계가 아니라 다양한 AI 서비스·모델·API를 업무 프로세스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AI 연계(iPaaS for AI)’ 능력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데아텍 AI iPaaS가 제공하는 △노코드 기반 AI API 연계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지원 △엔터프라이즈급 데이터·업무 자동화 △AI Agent·LLM 기반 워크플로우 구현 기능 등을 소개하고 이데아텍 AI iPaaS를 통해 공공·교육·제조·유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실질적 AI 혁신을 가능하게 함을 강조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ICT 10대 현안 중 하나로 제시한 ‘AI 레디 데이터(Ready Data)’의 중요성도 부각됐다. 정부는 AI가 실제 서비스와 행정, 산업 전반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표준화되고 품질이 확보되어 AI가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정비된 ‘AI Ready Data’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데아텍 AI iPaaS는 정부가 추진하는 AI 활용 기반 강화 흐름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데아텍 오준서 부대표는 “AI 정부·행정 AI·생성형 AI·피지컬 AI 시대에는 단순한 데이터 연결만으로는 혁신을 만들기 어렵다”며 “AI 서비스를 신속하게 조합·연계하고 현장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 행정·산업 전반의 혁신 속도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위한 SW 생태계 확장
이번 행사에서는 국내 SW 기업들이 보유한 기술을 세계 시장에 소개하고, 글로벌 파트너십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한 교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본 프로그램에 참가한 기업들은 △해외 바이어 상담 △글로벌 파트너 협력 미팅 △우수 사례 공유 등을 통해 한국 SW가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 기반을 다졌다.
행사 관계자는 “글로벌 상용SW 명품 대전은 대한민국이 AI 기반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생태계 플랫폼”이라며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이 더욱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