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공주-민간 클라우드 DR 추진…국가 디지털 인프라 재편 추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운영 및 DR 관련 예산 규모(단위: 억 원, 출처: 행정안전위원회 2026 예산안 종합)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운영 및 DR 관련 예산 규모(단위: 억 원, 출처: 행정안전위원회 2026 예산안 종합)

[아이티데일리] 행정안전부가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국가의 주요 행정서비스를 뒷받침하는 디지털 전산 인프라 안정성 확보 및 전면적인 개편을 계획했다.

대규모 전산망 장애를 비롯해 화재 사고로 인해 국가 전산 인프라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나면서 전력설비 교체부터 재해복구 체계 재정비, 센터 이전·신축 검토까지 총체적인 보강에 나선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위원회는 2026년 예산안에 대전센터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사업에 6,000억 원대에 달하는 예산안을 배정했다.

이번 예산안의 핵심은 ‘안정성 확보’다. 대규모 재해에 취약한 기존 구조를 바꾸고, 공주센터·민간 클라우드를 연계한 재해복구(DR) 체계를 구축해 어떤 상황에서도 정부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UPS·배터리 노후화 문제와 실시간 복제(Real-Time Replication) 기반의 DR 시스템 미비는 반복적으로 지적돼 온 만큼, 행안위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산을 대폭 증액하며 ‘국가 디지털 리질리언스를 강화하는 중장기 개편’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2026년 행정안전위원회 예산안 의결자료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운영 항목에 443억 8,600만 원을 증액했다. 상세하게는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용료로 399억 660만 원, 노후 배터리 교체에 20억 8,400만 원, 공주센터 UPS 및 배터리 분리에 23억 9,600만 원이 포함된다. 센터의 전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화재 이후 가장 시급하게 제기된 과제다. 여기에는 대전센터와 공주센터 간 배터리·UPS를 분리해 전력 사고의 확산을 차단하는 작업도 포함됐다.

이와 관련해 한 IT 기업 관계자는 “정부가 이번 예산에 설비 분리를 포함한 것은 단순한 보강을 넘어 구조적 리스크 제거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한 지난해 화재 대응 과정에서 긴급 투입된 리스 장비의 2026년도 임차료로 58억 5,600만 원도 추가 반영됐다. 임시 조치로 도입된 장비가 상시 운영 구조에 포함되면서, 대전센터의 전반적 인프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단순 복구가 아닌 인프라 재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필수 유지비를 예산에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가장 중요한 작업으로 꼽히던 DR 예산도 포함됐다. 대전센터를 중심으로 한 정부 전산 구조를 ‘분산형 구조’로 개편한다. 대전센터와 공주센터, 민간 클라우드를 DR 체계로 묶는다는 계획이다. 대전센터 단일 구조에서 다중화·분산화를 통해 재난 발생 시 서비스 중단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가장 큰 규모의 증액 역시 이와 연관됐다. 2026년 행정안전위원회 예산안 의결자료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 등 노후장비 통합구축’ 항목에 5,101억 원이 할당됐다. 이 안에는 공주센터에 DR 서버를 구축하는 사업에 2,250억 원, 민간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 DR 구축에 1,935억 원, 스토리지 기반 DR 구축에 417억 원, 전체 DR 체계의 최적 모델을 설계하기 위한 ISP 수립 예산 466억 원이 포함된다. 특히 대전센터 이전 및 신축 검토 예산으로 33억 원까지 포함됐다. 이 외에도 5,101억 원 예산과는 별도로 범정부 신규도입 전산장비 통합구축 사업에도 스토리지 DR 구축 부분이 630억 5,000만 원가량 편성·증액됐다.

한 CSP 기업 관계자는 “민간 클라우드로의 DR 분산도 이번 예산안의 중요한 방향성이다. 정부는 이미 일부 부처 시스템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관해 운영하고 있지만, 이번 예산에서 DR 구축 비용이 대규모 반영되면서 향후 민간 클라우드와의 협력 모델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