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정보시스템 대상 ‘온나라 문서 시스템’ 포함돼 전 부처 수기 업무 수행
[아이티데일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자원) 대전센터 화재로 인해 정부 부처의 행정 처리가 30년 전 수기(手記) 행정 방식으로 돌아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정보시스템 대상으로 분류되는 ‘온나라’ 문서 시스템이 전소된 96개 시스템에 포함되면서, 문서 수발 및 전자결재 등 업무가 마비된 것이다.
온나라 시스템은 전 부처 문서 작성·결재·유통을 처리하는 정부 표준 시스템이다. 한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전 부처가 온나라 시스템 마비로 인해 핵심 업무를 수기로 처리하고 있다. PC로 문서를 작성한 후 수동으로 승인을 받고, 문서 통제 부서에서 도장을 받은 뒤 팩스로 문서를 보내는 방식으로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는 온나라 문서 시스템을 포함해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 민간 PPP 존으로 이관해 1개월 내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현실성이 없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현재 PPP존 상당수가 자원이 가득 찬 상황이며, PPP에 입주해 정부와 추가 할당 계약을 체결한 NHN클라우드의 경우 서버·스토리지 등 장비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익명의 정부 관계자는 “현재 대전센터 5층 7-1 전산실에서 전소된 96개 시스템에는 중요 정보시스템으로 분류된 온나라 문서 시스템이 포함돼 있다. 이에 정부 대부분의 부처에서는 과거 실물 문서를 인쇄하고 결재받고, 팩스로 보내던 30년 전으로 회귀한 상황이다”라면서 “다만 대전센터에서 운영되던 시스템은 스토리지를 공유하는 형태이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완전히 복구될 수 있을지는 불명확한 것으로 알려진다. 시점을 떠나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존재한다”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