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 인공지능정책실 등 신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아이티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되면서 과학기술과 인공지능(AI) 분야 국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됐다. 지난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로 통합되면서 과기부총리가 폐지된 지 17년 만이다. 과기정통부는 부총리급 위상에 걸맞게 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 신설,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 장관회의 출범, 인공지능정책실 신설, 대변인 실장급 상향 등을 추진하고 AI G3 도약을 주도함과 동시에 범부처 AI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부총리를 겸임하게 됐다. 과기정통부 장관에게는 과학기술·AI 정책을 놓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을 총괄·조정하는 임무가 부여된다. 새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AI G3 도약의 성공적 이행을 뒷받침하고, 흩어진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자원과 역량을 결집해 국가 AI 혁신을 주도하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부총리 직속 ‘과학기술·AI정책협력관’을 신설하고 기존 국 단위였던 AI기반정책관을 ‘AI정책실’로 확대·개편했다. AI 정책실에는 △AI정책기획관과 △AI인프라정책관을 둔다. 기존 정보통신정책실, 네트워크정책실 2실 체제서, AI정책실을 더한 3실 체제로 전환됐다. AI 정책실은 국가 AI 정책을 기획·실행하는 핵심조직이다. 국가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범정부 차원의 AI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AI정책기획관은 AI 산업 육성과 안전·신뢰 확보를 위한 국가 AI 정책과 법·제도를 설계하고, AI 인재 양성 기능에 주력한다. AI인프라정책관은 AI컴퓨팅 자원·데이터·클라우드 등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산업·지역의 AI 활용 및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과학기술·AI 관계 장관회의도 개최한다. 회의체는 단순한 안건 처리형 회의가 아니라, 부총리 총괄·조정하에 국가적 노력이 필요한 아젠다를 기획하고 공유한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