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클라우드 사업 가속화 기회 평가, 국정자원 행보 비판 목소리도 높아져
[아이티데일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데이터센터 화재로 피해를 입은 시스템이 96개로 최종 집계된 가운데 복구에 4주 이상이 걸릴 전망이다. 일부 중요 시스템은 사전에 준비된 재해복구(DR) 시스템을 이용해 복구했지만, 대다수 비중요 시스템은 할당된 DR 시스템이 없어 복구에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화재 피해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이전해 복구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화재로 중단된 647개 서비스 중 복구가 완료된 서비스는 오후 4시 기준 73개다.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은 백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구센터에 위치한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시스템을 이전해 복구한다는 계획이다. 인프라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날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인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 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센터에는 현재 삼성SDS,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가 입주해 있다. 공공 클라우드 사업 수행을 위한 보안 기준 ‘상’ 등급을 충족해 민감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까지 맡길 수 있다. 이번 사태가 이들 기업들의 공공 클라우드 사업을 가속화하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대구센터 역시 폐쇄된 형태의 데이터센터라는 점은 불안을 남긴다. 삼성SDS나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각 업체들이 보유한 외부 데이터센터들과 유기적으로 연계돼 유사시 자원을 확장하거나 DR이 가능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PPP 모델은 단순한 데이터센터 상면 임대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런 배경에서 정부 IT 인프라를 레거시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형태로 통합 관리하는 것을 고집해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그간 행보에 대한 비판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클라우드가 떠오른지 10년 이상이 지났는데도 폐쇄적이고 자리 보전에만 급급한 행보들을 보여왔다는 게 공공부문 IT 업계 관계자들의 불만이다.
한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옛 통합전산센터때부터 많은 문제점이 지적돼온 조직이다. 특히 최근에는 클라우드 시대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사실 대전, 대구, 광주, 그리고 공주까지 4개 센터가 각각의 리전 역할을 하면서 장애 또는 재해 시 서로를 대체하는,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과 같은 체계를 갖추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부 주도로 글로벌 기업과 같은 체계를 갖춘다는 것이 정말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지, 그렇게 되려면 얼마나 천문학적인 투자가 필요한지 이번 사고를 계기로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