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전환에 4조 4,600억 원…클라우드 투자 ‘뒷전’ 우려
[아이티데일리] “우리 대학교는 클라우드 전환을 시도하려고 했으나, 비용 부담이 너무 컸다. 인당 1년 등록금 약 200만 원 중 클라우드 비용으로만 인당 약 50만 원이 지출되는 상황이었다. 대학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
얼마 전 국회 행사에서 들은 이야기다. 행정·공공기관도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은 모양이다.
2025년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예보 결과에 따르면, 기관이 클라우드 전환이나 도입 계획이 없다고 밝힌 이유로 ‘관련 예산 미확보’(38.3%)가 가장 많았다. 이어 ‘전환·이용 비용 과다 등 비용 부담’(31.7%), ‘보안 이슈 발생 우려’(26.1%), ‘클라우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업무에 대한 부담’(21.4%) 등이 뒤를 이었다.
삼성SDS가 지난 7월 발표한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 부문의 클라우드 도입률은 45%에 그쳐, 일반 산업 분야(66%)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예산이 부족하다는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예보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 규모도 감소하는 추세다. 행정안전부는 2024년 약 500억 원을 투입해 국토 정보 플랫폼, 고용 산재보험 서비스 등 10개 기관의 13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했다. 그러나 2025년에 들어서는 예산이 430억 원으로 줄고, 전환 대상 시스템도 7개 기관 9개 정보시스템으로 감소했다.
2026년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예산 역시 652억 원으로, 전년(725억 원) 대비 약 10% 줄었다. 다만 행안부 측에서는 “2026년 공공 AI 전환 예산의 전체 467억 원 중 156억 원이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이용료로 편성됐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새 정부가 ‘AI 3대 강국’, ‘AI 민주정부’를 내세우며 AI 관련 예산을 확대하는 가운데 클라우드 관련 예산 및 전환 계획에 대한 로드맵은 제대로 공표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행안부의 2026년 사업비 예산 편성 현황을 살펴보면 사업비 총 6조 6,665억 원 중 ‘AI 민주정부 및 정보화’ 부문에 8,649억 원을 편성했다. 노후 장비 통합 구축(1,584억 원), 신규 전산장비 통합 구축(982억 원), 신규 공공부문 AI 서비스 지원(200억 원) 등이 눈에 띈다. 정부와 지자체가 중복투자 없이 AI 서비스를 기획·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도 포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비슷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의 2026년도 예산안을 살펴보면 AI 대전환(AX)에 4조 4,600억 원이 편성됐다. 2025년 예산은 3조 4,400억 원이었으며 이는 29.7%가 증가한 수치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클라우드에 대한 내용 보다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반도체 칩에 집중된 상황이다.
모든 예산이 AI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 클라우드 업계에는 불안감이 감돌고 있다. AI는 클라우드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원활한 데이터 수급과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클라우드가 기반이 돼야 한다.
비록 AI 예산에 클라우드가 포함돼 있다고 하지만 클라우드 투자가 뒷전으로 밀리지 않을지 우려가 많다. 지금이야말로 정부의 분명한 설명과 방향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