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주최·주관, KT·AWS·네이버클라우드 등 12개사 발표

[아이티데일리] 국내외 인공지능-클라우드(AI-Cloud) 핵심 기술과 전략이 한자리에 모인 클라우드 전문 컨퍼런스 ‘클라우드 빅 테크(Cloud Big Tech) 2025’가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4일 열렸다. ‘빅 테크(Big Tech)가 이끄는 AI-Cloud 혁신’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사)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가 주최·주관으로 개최됐다. 특히 공공부문 디지털전환 정책과 민간 클라우드 기술 간 접점을 실질적으로 보여준 행사로 호평받았다.

‘클라우드 빅 테크(Cloud Big Tech) 2025’ 현장 (사진=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클라우드 빅 테크(Cloud Big Tech) 2025’ 현장 (사진=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이번 행사에는 KT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0, 네이버클라우드 등 총 12개 기업 및 기관이 발표에 참여했으며, 공공기관, 지자체, 민간기업 실무자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기조세션(3개사)과 기술세션(9개사)으로 나눠 진행됐다.  공공‧산업 현장에서 즉시 도입이 가능한 기술 전략과 사례 중심의 발표가 이뤄졌다.

기조강연 기업인 KT클라우드는 초거대 AI 및 공공 클라우드 플랫폼 전략을 중심으로 “국가 디지털 대전환에 있어 AI인프라 구축의 현실적 과제”를 제시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소버린(Sovereign) AI, 자체 AI 인프라, 금융·공공 클라우드 이행 전략을 구체적으로 공유했다. AWS는 “공공부문에 적합한 보안·가용성 중심의 AI 서비스 구현사례”를 바탕으로 글로벌 적용 사례의 핵심을 전했다.

기술세션에서는 삼성SDS, SK쉴더스, 나무기술, NHN인재INC, 가온아이, 파이오링크, 가비아, 제트컨버터클라우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PaaS, SaaS, 보안, 공공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했다.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최지웅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AI와 클라우드는 이제 하나의 기술이 아닌, 디지털 사회를 떠받치는 기반 인프라로 기능하고 있다”며 “협회는 앞으로도 AI-클라우드 융합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