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나나 온디바이스 이식 및 오픈AI GPT-5, AI 에이전트 경험 지원
[아이티데일리] 카카오(대표 정신아)가 카카오톡 출시 15주년을 맞아 AI 메신저로의 서비스 개편을 단행했다.
23일 카카오는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이프 카카오’ 컨퍼런스를 통해 하반기 예정된 카카오톡 개편 등 주요 개발 성과를 공개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글로벌 플랫폼들의 소셜 기능을 반영함과 동시에 카카오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AI 비서 ‘에이전트형 AI’를 접목한 것이다. 특히 내달부터는 오픈AI와 협업해 카카오톡에서 GPT-5를 지원해 단순한 대화형 AI를 넘어 ‘선물하기’, ‘예약하기’, ‘멜론’ 등 카카오 서비스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AI 에이전트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는 이번 개편을 통해 이용자를 중심에 둔 변화임을 강조했다.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이번 대대적인 카카오톡 업데이트는 역사상 처음 있는 일로, 이용자의 목소리와 행동에 주목하면서 시대 변화에 밀접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말했다.
우선 친구탭의 프로필 기능이 기존 단순 노출 방식에서 피드형으로 개선된다. 프로필 공간에 글과 사진을 게시할 수 있고, 공개 범위는 선택 가능하다. 친구 프로필 변경 내역과 게시물은 피드식 타임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채팅방에서 공유된 사진이나 영상도 한눈에 모아볼 수 있다.
채팅탭 기능도 고도화된다. 대화방 분류를 위한 폴더 기능이 도입되고, 아직 확인하지 않은 채팅방을 아래로 당겨 미래에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또한 보이스톡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요약하는 기능이 적용되며, 메시지는 발송 후 24시간 내 수정할 수 있다. 오픈채팅 탭은 ‘지금탭’으로 개편돼 숏폼 영상을 공유하고 대화할 수 있도록 바뀐다. 카카오톡 신규 업데이트(v25.8.0)는 이날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이번 개편에는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AI ‘카나나’도 이식됐다. 당초 별도 앱으로 운영되던 카나나는 기대치에 비해 활용도가 낮다는 판단에 따라 카카오톡에 온디바이스 형태로 이식됐다. 카나나는 대화 맥락에 따라 먼저 제안하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과 대화창 안에서 AI 검색을 지원하는 ‘카나나 검색’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건강검진 이야기를 나누면 카나나가 관련 정보를 추천하거나 예약 서비스와 바로 연계하는 식이다. 이 기능은 10월 업데이트에서 본격 제공된다.
오는 10월부터 도입되는 챗GPT는 카카오톡 채팅방 상단의 전용 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용자는 챗GPT와 직접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이를 곧바로 카카오톡 대화방과 공유할 수 있다. 카카오는 챗GPT를 카카오맵, 멜론, 선물하기 등과 연결하는 ‘카카오 에이전트’와 연동해 단순 대화 이상의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방침이다. 향후 공공기관과 외부 파트너사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카카오 측은 이번 개편 과정에서 무엇보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조했다.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온디바이스 AI 모델을 채택해 카나나 관련 데이터는 외부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개인 스마트폰에서만 작동한다. 보이스톡은 요약 후 바로 삭제되며, 챗GPT 역시 카카오톡 데이터와 직접 연동하지 않는다”면서 “카카오톡 데이터가 챗GPT 학습에 쓰이지 않고 서버에 저장되지 않는다”고 말하며 철저한 보안 원칙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