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환 로드맵, 데이터 혁신 전략 등 소개…단순 DB 넘어 AI 분석 중심 허브로
[아이티데일리] EDB 김희배) 지사장은 포스트그레스(Postgres)는 더 이상 단순한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AI 시대에 기업이 데이터를 통제하고 혁신을 이끌 핵심 인프라이자 기업이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면서 AI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EDB는 2일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EDB 포스트그레스 AI 데이 서울 2025’을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포스트그레SQL과 오픈소스의 미래 그리고 AI 전환 로드맵과 데이터 혁신 전략, 성공 사례가 공유됐다.
EDB는 고객들로부터 ‘소버린 AI’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으며 단일 플랫폼에서 데이터 통제권과 AI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또 많은 기업이 생성형 AI 도입에 실패하고 있는데 이는 비용, 확장성, 단편화된 시스템, 데이터 거버넌스, 기술 격차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EDB는 포스트그레스 기반 통합 AI 플랫폼 ‘EDB 포스트그레스 AI 팩토리(EDB Postgres AI Factory)’를 제시하고 있다. EDB 포스트그레스 AI 팩토리는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필요한 통합 플랫폼으로, 벤더 종속을 해소하고 노코드·로우코드 방식으로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 개발 소요 시간을 약 3배 단축하고 총소유비용(TCO)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EDB는 ‘애널리스트 액셀러레이터(Analytics Accelerator)’도 소개했다. 애널리스트 액셀러레이터는 포스트그레스의 분석 성능을 강화하는 솔루션으로, 칼럼형 쿼리 엔진(Column Query Engine)을 통해 표준 포스트그레스 쿼리 대비 30배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EDB 데이브 스톤(Dave Stone) PM은 “데이터 통제와 AI 혁신은 곧 기업 경쟁력이다. EDB는 기업이 외부 클라우드나 서드파티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안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며 “포스트그레스를 단순한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AI와 분석의 중심 허브로 발전시키는 게 EDB의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행사에서는 주요 고객 사례와 비즈니스 전환 사례들이 소개됐다. 특히 국내 K사는 기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Oracle DB)의 벤더 종속을 탈피하고 데이터 관리 권한과 비용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EDB 포스트그레스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라이선스와 유지보수 비용을 제거했으며 수천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었다고 한다.
EDB 이태윤 기술 고문은 “이제 운영 조직은 단순 유지보수를 넘어 AI 시대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데이터의 품질과 양을 확보하고 벡터 DB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