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센트릭 온톨로지(Cloud Centric Ontology) 전략 제시
[아이티데일리] “현재 클라우드는 기업의 인프라를 넘어 디지털 비즈니스를 지탱하는 운영체제로 자리 잡았다. 이 운영체제의 성능을 결정짓는 요소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구조적 일관성이다. AI 시대 경쟁력은 데이터에 질서를 부여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이를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로 판가름 된다.”
2일 오케스트로 김영광 CTO는 ‘오케스트로 솔루션데이 2025’에서 AI가 신뢰도 높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데이터 질서를 재정의하는 ‘오케스트로 스코어(OKESTRO Score)’ 전략을 발표했다.
AI 시대 이전 클라우드 한계
김 CTO는 AI시대 이전의 클라우드는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등 물리 환경과 프라이빗‧퍼블릭 클라우드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며, IT 관리 조직은 대부분의 시간을 복잡성 해결에 투입해야 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오케스트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동안 풀 스택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시해왔다. 이 솔루션은 △IaaS 기반 서버 가상화 솔루션 ‘콘트라베이스(CONTRABASS)’ △쿠버네티스 기반 PaaS 솔루션 ‘비올라(VIOLA)’ △클라우드 통합 관리 플랫폼 ‘오케스트로 CMP’ △생성형 AI 솔루션 ‘클라리넷(CLARINET))’ 등으로 구성된다. 각 솔루션은 물리적 자원부터 가상화, 플랫폼, AI 기반 자동화까지 클라우드 운영의 전 과정을 아우른다.
김 CTO는 “오케스트로는 그동안 풀스택 클라우드 솔루션을 기반으로 플랫폼, 데브옵스(DevOps) 등 클라우드 계층 내에서 기능 중심의 오케스트레이션에 집중했다”며 “하지만 AI 시대에는 AI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계된 클라우드, 데이터 중심의 아키텍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클라우드 환경 ‘악보’ 같은 표준 체계 필요
AI 할루시네이션이 발생하는 이유는 모델의 한계뿐만이 아니라 그 기반에 데이터가 충분히 구조화돼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게 김 CTO의 분석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클라우드 센트릭 온톨로지(Cloud Centric Ontology)’를 꼽았다.
클라우드 센트릭 온톨로지(Cloud Centric Ontology)란 클라우드 환경에 존재하는 여러 파편화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고, 의미망을 부여해 정리된 지식 체계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오케스트로는 이를 위한 전략으로 ‘오케스트로 스코어(Okestro Score)’를 내세웠다. ‘악보’를 의미하는 스코어는 클라우드 환경 전체를 하나의 표준 체계로 묶을 수 있다. 매트릭, 로그, 이벤트, 구성 정보 등 흩어진 데이터를 의미 단위로 연결해 지식 그래프로 재구성한다. 또한 회사는 자원기술프레임워크(RDF)·웹온톨로지언어(OWL) 등 국제 표준 기술을 적용해 AI가 직접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존에는 ‘중앙처리장치(CPU) 사용률 80%’와 같은 경고가 나타나면 관리자가 직접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야 했다. 그러나 오케스트로 스코어 기반 환경에서는 AI가 '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한 서버에서 충돌해 AI 작업이 지연됐다’와 같이 원인은 물론 맥락까지 파악해 해결 과정을 도출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장애관리시스템(ITSM) 또는 서비스품질관리(SLA)에 기록되며 클라리넷 AI에게 작업 전 시뮬레이션을 시킬 것을 권장할 수도 있다.
김 CTO는 “AI와 클라우드는 이제 서로를 위한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며 “데이터에 질서를 부여하고 이를 일관되게 관리하는 기업만이 AI 시대의 승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