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AI 자연재난 대응 방안’ 간담회 개최…기업들 자체 솔루션으로 역량 확보

[아이티데일리]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재난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강남구 도시관제센터에서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의 자연 재난 대응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간담회를 19일 개최했다.

과기부 배경훈 장관이 간담회를 통해 발언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폭우·폭염 등 이상기후가 자주 나타나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에 각 국가와 기업들은 재난 대응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안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사전에 축적된 재난 데이터와 국토 지리 정보 등을 바탕으로 기존에는 예측하지 못했던 위험을 예방하고 재난 상황에서 피해 범위, 확산 속도 등을 예측해 추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기부는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관계 부처와 쿠도커뮤니케이션, 인텔리빅스, 이지스, 알체라 등 재난 대응 인공 지능 제품·서비스 개발기업,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 연구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등 유관기관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서는 AI 기반으로 자연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논의가 이어졌다. 관계자들은 각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재난 상황 데이터, 국토 정보 등 다양한 고품질의 데이터를 활용해 시스템이 개발돼야 하며, 시스템이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체계가 정착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과기부 배경훈 장관은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 재난 예측이 어려워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서 기존 대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열쇠로서 인공지능의 잠재력에 주목할 때”라며 “인공지능이 극한 자연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연재난 대응에 인공지능·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텔리빅스 ‘GEN AMS’, 선제 대응 지원

기업들도 AI가 적용된 솔루션을 통해 재난에 대응하고 있다. 인텔리빅스와 알체라가 대표적이다.

인텔리빅스는 2000년에 설립된 영상 분석 AI 전문기업으로, 산불·화재, 홍수, 산사태 등 다양한 재난·재해 상황을 조기에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생성형 AI 기반 영상 관제 솔루션(Gen AMS)’을 제공하고 있다.

GEN AMS는 영상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평소와 다른 이상 징후(연기, 불꽃, 수위 상승 등)를 실시간으로 포착하고,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즉시 경고 알림(문자·앱·관제시스템)을 전송한다. 또한 위험 상황에 대한 탐지·경고·보고서 작성을 자동으로 수행해 관계 기관과 현장에 신속히 전파해 초기 단계에서 인명 대피, 도로 통제, 장비 배치 등 선제 대응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알체라 ‘파이어스카우트’, 화재 상황 조기 감지

알체라는 2016년에 설립된 비전 AI 기술 기반의 안전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와 불꽃을 감지하는 ‘파이어스카우트’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화재의 경우 연기가 먼저 분출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이어스카우트는 CCTV 화면에서 나타나는 연기와 불꽃을 감지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기존 CCTV에 파이어스카우트를 접목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는 기존 화재 감지 솔루션들이 열화상 카메라나 연기 감지 장치를 활용했던 것에 비해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