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춘 500대 기업 85%가 마이크로소프트 AI 도입
[아이티데일리] 마이크로소프트(MS)가 다양한 글로벌 산업 분야에서 자사 클라우드 및 AI 플랫폼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성과를 이룬 고객 사례를 19일 공개했다.
IDC가 발표한 ‘2025 CEO 우선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EO의 66%는 생성형 AI를 통해 운영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 개선 등에서 측정 가능한 성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AI에 1달러를 지출할 때 전 세계 경제에서 평균 4.9달러의 부가가치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과 파트너가 ‘AI 퍼스트(AI-first)’ 전략 중심으로 비즈니스 전략을 재편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는 핵심 영역으로 △직원 경험 강화 △고객 경험 혁신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설계 △혁신 가속화 등을 꼽았다. MS에 따르면 현재 포춘 500대 기업의 85% 이상이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솔루션을 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애저 인프라 기반의 AI 혁신 사례
MS 저드슨 알소프(Judson Althoff) 수석 부사장은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과 파트너가 AI를 통해 개인과 조직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술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원 중”이라고 설명했다. MS가 공개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인프라 기반의 다양한 고객 사례로 먼저 미국 스탠포드대학병원(Stanford Medicine)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스탠포드대학병원은 애저 AI 파운드리를 활용해 의료 AI 에이전트 관리 솔루션을 구축했다. 이 솔루션은 종양 위원회를 지원하는 AI 에이전트를 배치해, 임상 노트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정리하고 종합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들은 더 효율적으로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일본 IT 기업 NTT 데이터(NTT DATA)는 직관적이고 확장 가능한 AI 기반 데이터 접근과 분석을 목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패브릭(Microsoft Fabric)과 애저 AI 파운드리 기반 AI 에이전트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다룰 수 있는 대화형 플랫폼을 구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MS는 NTT 데이터가 대화형 플랫폼을 활용해 신규 솔루션의 출시 기간을 50%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독일 로봇 기업 쿠카(KUKA)는 애저 AI 파운드리 모델과 애저 AI 서치를 기반으로 ‘iiQ웍스(Works).코파일럿(Copilot)’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자연어 기반 코드 생성과 워크플로우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 단순 작업 프로그래밍 속도를 최대 80%까지 높인 것으로 파악됐다. 쿠카는 이 솔루션으로 로보틱스 도구와 자동화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했다며, 배포 속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다양한 팀과 환경에서 산업용 로봇의 활용성을 확대했다고 강조했다.
저드슨 알소프 수석 부사장은 “마이크로소프트는 앞으로도 이들이 단순한 AI 도입을 넘어 혁신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전략을 재정립하고, 프론티어 기업으로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