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전략적 차별화 필요성 강조

[아이티데일리]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가 소버린 AI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범용 AI가 아닌 특화형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투자 역량이 미국과 중국 등 선진국과 비교할 때 뒤떨어져 전략적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

현재 우리 정부는 소버린 AI 전략의 한 축으로 ‘범용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는 범용 AI 모델에 뛰어드는 것보다 특화형 소버린 AI 전략을 펼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초거대 AI는 막대한 계산 자원과 데이터, 고급 인재가 필수적인 자원 집약형 기술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기술력, 인재, 데이터, GPU 인프라 등 모든 면에서 미국과 중국에 비해 열세다. 이러한 상황에서 범용 AI 경쟁에 뛰어들기보단 한정된 자원 내에서 우리나라의 강점을 살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는 “특화형 소버린 AI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연계와 예산 확보, 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이다. 특히 산·학·연·정 간의 협력을 통해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지속 가능하고 영속적인 기술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기술 주권 확보를 통한 외국 기술 의존 탈피  △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한 AI 시장 주도권 등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화형 소버린 AI 전략이 우리나라가 AI 시대의 전략적 리더십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

최근 미국은 AI 액션 플랜을 통해 AI 풀스택 수출, 데이터센터·반도체 인프라 강화, 오픈소스 활용 촉진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AI 인프라 패키지를 통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네트워크, AI 모델, 보안 시스템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해 동맹국들이 미국 기술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실제 APEC 포럼에서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수석은 “미국의 AI를 받아들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는 “기술 안정이라는 명분 아래 미국 기술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소버린 AI 전략으로 우리의 기술 주권을 확보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