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밀한 논리 없이 AI 도움 통해 연구 진행…AI와 연구 결합 가속화
[아이티데일리] 라이너(대표 김진우)가 AI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 ‘바이브 리서치’를 제시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제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주최 학술 행사인 ‘에이전트포사이언스(Agents4Science) 2025’는 AI를 과학 논문의 제1 저자이자 동료 평가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학술 분야 연구에서도 AI 결합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라이너가 새롭게 제시하는 바이브 리서치 개념은 ‘바이브 코딩’에서 착안한 개념이다. 먼저 바이브 코딩은 개발자가 엄격한 논리 설계나 완벽한 설계 없이 즉흥적인 아이디어와 직감에 따라 AI의 도움을 받아 코딩을 진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바이브 리서치는 이 같은 개념을 과학 연구 분야로 확장한 것이다.
기존 연구 과정에서는 가설 설정, 문헌 검토, 실험 계획 등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했다. 하지만 연구자가 바이브 리서치를 활용할 경우 가설 정교화, 문헌 탐색, 인용 작성, 동료 평가 등 논문 작성 전 과정을 AI의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전에 엄밀한 논리를 설계하지 않아도 AI의 도움을 받아 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새롭게 대두된 바이브 리서치 개념은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가 주최하는 에이전트포사이언스 2025를 통해 실효성이 증명될 전망이다. 이번 행사의 핵심은 논문의 제1 저자로 AI가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 AI 저자 자격이 허용될 뿐만 아니라 의무화되는 최초의 컨퍼런스로, AI가 생성한 연구에 대한 평가와 과학 분야에서 AI의 책임 있는 참여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이너는 에이전트포사이언스 2025 참여 연구자를 위한 특별 장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컨퍼런스에 도전하는 연구자를 위해 자사 AI 에이전트 ‘라이너 맥스’ 플랜을 무료로 지원하고 향후 컨퍼런스에 논문을 제출해 채택되는 연구팀에게 1천만 원의 장학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라이너 김진우 대표는 “바이브 리서치 캠페인 목적으로 기획된 이번 프로그램은 글로벌 무대에서 AI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직접 증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라이너는 AI가 연구자의 동료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누구나 지적 탐구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