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산업 기능 강화, 국가 경쟁력 확보…탄력적 예산 집행 필요
[아이티데일리]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정부의 핵심 과제인 ‘인공지능(AI) 3대 강국 진입과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조직 개편에 나선다. AI 산업의 기능 강화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최우선으로 삼고, AI 인프라 확충과 국산 AI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다.
31일 NIPA는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NIPA 박윤규 원장은 “AI가 거대언어모델(LLM), 에이전트 AI에서 어느새 피지컬 AI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고자 한다”고 조직 개편의 배경을 밝혔다.
NIPA는 기존 △AI 인프라 본부 △ AI 융합 본부 등 2본부 체제였던 인공지능 본부를 △AI 인프라 본부 △AI 반도체 지원본부 △AI 활용 본부 등 3본부 체제로 확대 개편한다. 이는 AI 반도체 생태계 조성 및 초거대 AI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또 NIPA는 정책 기획단을 신설해 정책을 기획하고 성장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번 조직 개편의 주요 요인으로 NIPA의 예산 규모 증가도 꼽혔다. NIPA는 올해 약 6,000억 원 규모의 본예산을 배정받았으나 1차 추경 약 1조 7,000억 원, 2차 추경 약 1,000억 원이 추가돼 총 약 2조 4,000억 원의 사업예산을 집행하게 됐다. 그러나 기존 조직 체계로는 급증한 예산을 집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또한 행사에서는 정부 예산의 탄력적인 집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NIPA 박윤규 원장은 “정부 예산은 기획해서 심사받고 쓸 때까지 1년 반, 길게는 2년이 걸린다. 이는 과거의 기술에 투자하는 현상을 유발한다”며 “AI 같은 경우는 정부 예산을 많이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예산을 집행할 수 있는 탄력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1등 하는 미국도 AI 패권을 잡기 위해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우리나라도 이에 뒤지지 않으려면 보다 과감하고 신속한 사업들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원장은 AI 개발 및 활용을 저해하는 규제에 대한 점검 필요성도 언급했다. 실제 무인 지게차는 작업 현장에 사람이 있는 경우 무인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규제가 있으며 이러한 점들이 산업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박 원장은 한국이 AI 시대에 맞추어 규제를 철폐하기 어렵다면 완화하려는 노력이라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NIPA가 선도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