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피싱 주의보…의심 문자 클릭 말고 신고 당부
[아이티데일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상중)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미끼로 한 디지털 사기 범죄를 막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kISA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노린 스미싱, 피싱 등 위협이 우려돼 대국민 보안 공지를 통해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며 범정부 차원의 대응도 강화했다.
KISA는 △스미싱 △피싱 사이트 △보이스피싱 등을 통해 범죄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스미싱의 경우, 정부24, 지역화폐 앱 등을 사칭해 ‘대상자’, ‘쿠폰 발급처’ 등의 키워드로 문자 메시지 내 악성 인터넷 주소 클릭을 유도하는 수법을 주의해야 한다. 이 링크를 누르면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거나 악성 앱이 설치된다.
또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및 ‘사용 방법’ 등 관련 키워드 검색 시 상단에 노출된 피싱 사이트나 광고로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도 조심해야 한다. 전화를 걸어 소비쿠폰 추가 지급을 미끼로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는 수법도 경계해야 한다.
KISA는 국민 행동 요령 세 가지 수칙을 공개했다. 우선 스미싱 의심 문자를 수신하면 KISA가 제공하는 ‘스미싱확인서비스’로 ‘정상’ 메시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피해 의심 또는 발생 시에는 경찰청 또는 사이버범죄신고시스템으로 즉시 신고해야 한다.
이 밖에도 KISA는 관련 홈페이지와 스팸·스미싱을 집중 감시하고 악성 URL을 신속히 차단하며, 118 상담 전화를 확대 운영하는 등 다각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KISA 이상중 원장은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정책인 만큼, 이를 노린 디지털 민생범죄 시도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24시간 감시 체계를 가동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