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번역 도구’ 기업에 리스크로 작용하기도…정확성, 문맥 이해도 중요

[아이티데일리] AI 번역 도구는 범용 AI의 뒤를 이어 두 번째로 많이 활용되는 AI 솔루션으로, 국내 직장인 10명 중 약 7명이 활용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4일 딥엘은 마케팅, IT, 법조계 등 전 산업군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직장인 AI 번역 도구 활용 실태조사’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딥엘 CI

조사에 따르면, 국내 직장인의 67.6%가 이미 AI 번역 도구를 업무에 활용 중이며 △시간 절약 △비용 절감 △업무량 감소 등 실질적인 효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89.2%가 “AI 번역 서비스를 계속 활용할 예정”이라고 답했으며, 86.8%는 “사용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AI 번역 도구는 기업 입장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응답자들은 AI 번역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번역 오류로 인한 제품 질 저하(46.7%) △해외 파트너와 소통 문제 경험(35.8%) △언어 오해로 비즈니스 기회 손실(31.4%)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했다.

이에 직장인들은 AI 번역 도구를 선택할 때 정확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들은 AI 번역기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정확성(82.2%)과 문장 자연스러움(73.7%)을 꼽았다. 속도를 꼽은 응답자는 34.6%에 불과해 AI 번역 도구가 단순히 속도만 갖출 것이 아니라 정밀도와 문맥 이해도를 갖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딥엘은 이번 설문을 통해 직장 내 AI 도구 사용 현황도 조사했다. 그 결과 △범용 AI(88.4%) △AI 번역기(67.6%) △AI 회의 요약 도구(26.6%) △AI 글쓰기 도우미(17.2%) △이미지 생성 도구(13.2%) 순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딥엘 스티브 로터(Steve Rotter) CMO는 “한국의 언어 AI 사용자들은 단순 얼리어답터 수준에 그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의 정확성과 문화적 맥락 이해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가장 안목 높은 고객”이라며 “이러한 수요야말로 딥엘이 설계된 이유이자 존재 의미”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