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AI, 구글, 앤트로픽 등 뒤이어…매출 개선 통해 경쟁력 강화
[아이티데일리] 퍼플렉시티(Perplexity)가 월 200달러(약 27만 원) 요금의 ‘퍼플렉시티 맥스(Perplexity Max)’ 구독 상품을 출시하며 파워 유저 공략에 나선다.
퍼플렉시티는 지난 1일 자사 블로그를 통해 퍼플렉시티 맥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블로그에 따르면, 퍼플렉시티 맥스는 기존 구독 상품 ‘프로’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고 △무제한 랩 △얼리 엑세스 △고급 모델 옵션 및 우선 지원 등을 지원한다.
특히 퍼플렉시티 맥스 구독자는 오픈 AI o3-프로(OpenAI o3-pro) 및 클로드 오푸스 4(Claude Opus 4)와 같은 최신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의 우선 액세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오픈 AI(Open AI)가 월 200달러짜리 챗GPT 프로(ChatGPT Pro) 구독 상품을 공개하며 시작됐다. 최근 몇 달 동안 구글(Google), 트로픽(Anthropic), 커서(Cursor) 가 그 뒤를 따랐고 이번에 퍼플렉시티도 흐름에 동참한 것이다.
한편 이번 구독 상품 출시는 퍼플렉시티의 매출 개선을 위한 움직으로도 해석된다. 테크크런치 보도에 따르면, 퍼플렉시티는 2024년 월 20달러(약 2만 7천 원) ‘Pro 플랜’ 구독을 통해 약 3,400만 달러(약 462억 원)의 매출을 창출했지만, 약 6,500만 달러(약 883억 원)의 현금을 소진했다. 즉 퍼플렉시티의 경쟁력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실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으로, 이번 구독 상품이 해결책으로 작동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최근 한국, 미국 시장에서 AI 구독 상품에 대한 높은 수요가 드러난다. 기존에는 많은 이용자들이 AI를 활용해도 구독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기조가 변화하고 있는 것”이라며 “퍼플렉시티의 이번 구독 상품에도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내 AI 검색 엔진도 주목
퍼플렉시티는 다양한 AI 모델들을 활용하고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답변을 요약해 제공하는 대화형 AI 검색 엔진이다. 국내에서는 라이너(Liner, 대표 김진우)가 ‘라이너 검색 LLM(Search Large Language Model)’을 서비스하며 퍼플렉시티와 유사한 사업 방향성을 갖고 있다.
실제로 라이너는 기술력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AI 검색 답변 생성에 사용되는 핵심 컴포넌트 평가에서 오픈AI의 GPT-4.1 모델보다 우수한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라이너는 자사 LLM을 오픈AI의 GPT-4.1과 동일한 태스크(Task)를 기준으로 체계적인 내부 검증 프로세스에서 성능(정확도), 처리 속도, 비용(토큰당 가격)을 비교·분석했다. 특히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결과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며, 세 가지 요소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집중했다.
그 결과 △카테고리 분류 △과제 분류 △외부 도구 실행 △중간 답변 생성 등 4개 핵심 컴포넌트에서 성능·속도·비용 모든 측면에서 GPT 4.1 대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나머지 영역에서도 두 가지 이상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라이너 조현석 리드는 “라이너 검색 LLM은 8가지 모든 컴포넌트에서 GPT를 뛰어넘는 성능을 입증했다”며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학습하고, 어떤 구조로 질문을 처리하느냐가 AI 할루시네이션을 줄이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