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구축 과정 생략, 추가 학습 없이 비즈니스 적용…‘제로샷’ 능력이 강점
[아이티데일리] “기업들은 AI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AI 전문 인력 부족, 양질의 데이터 부족, 기술 인프라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슈퍼브에이아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신러닝 운영(MLOps), 버티컬 솔루션을 공급해 왔다. 이번 비전 파운데이션 모델(VFM) ‘제로’ 출시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를 통해 기업이 AI를 도입하는데 드는 부담을 제로로 만들고자 한다.”
24일 슈퍼브에이아이는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슈퍼브에이아이 김현수 대표는 신규 VFM 모델 제로를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슈퍼브에이아이는 기업의 AI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제로를 개발했다. 기존에는 AI를 구축하기 위해서 매번 데이터를 수집하고 라벨링해 모델을 학습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제로를 통해 앞선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됐다. 추가적인 데이터 학습 없이 비즈니스에 바로 적용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현수 대표는 “제로 모델의 가장 큰 장점은 ‘제로샷(Zero-shot)’ 능력에 있다. 제로샷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바로 객체 인식, 이상 탐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며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형태로도 프롬프트를 입력해 AI에 업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 현장에서 부품의 이미지를 제로에 입력하면 목표를 인식할 수 있다. 단순 인식을 넘어 수량 체크까지 지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로는 다양한 유형의 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모델’이다. 비전 AI로 다양한 산업 현장을지원하기 위해서는 각 부분에 버티컬 솔루션을 공급할 필요가 있었다. 이번 출시된 제로는 이러한 버티컬 모델들을 통합한 것으로, 이를 통해 누구나 즉시 AI를 도입해 혁신 사례를 만들 수 있다”고 부연했다.
또한 행사에서는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활용해 제로를 개발한 사실도 소개했다. 기존 공개 모델 대비 10분의 1의 GPU만을 활용했으며, 다량의 학습 데이터를 모두 학습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중요 데이터를 선별해 모델을 학습했다. 결과적으로 적은 리소스로도 효율적인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슈퍼브에이아이 차문수 CTO는 “대부분의 VFM 모델이 일반적인 데이터를 통해 학습되는 것과 달리, 제로는 웹 데이터, 퍼블릭 데이터, 산업형 데이터 등을 따로 구축해 학습했다. 이를 통해 산업 분야에 강점을 가진 모델을 개발했다”라며 “고객이 실제 현장에서 더욱 정확한 솔루션이 적용되길 원한다면 제로를 기반으로 버티컬 모델을 개발해 공급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복잡한 환경이 아닌 경우는 제로로 충분히 지원할 수 있어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