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선순환 성장 전략 강조 위한 전문가로 ‘제격’ 평가
[아이티데일리] 이재명 대통령이 초대 인공지능(AI)미래기획수석에 네이버클라우드 하정우 AI 혁신센터장을 임명했다. AI미래기획수석은 이번 정부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직책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했던 ‘AI G3 도약’ 공약을 실현하기 위한 투자부터 인력양성, 인프라 확충 등과 관련한 업무를 진두지휘하게 된다.
15일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인선을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은 AI 주권을 강조한 소버린 AI를 제안하고 앞장서서 주도하는 인물이다. 국가는 기업을 지원하고, 기업은 성과를 공유하는 AI 선순환 성장 전략을 강조해왔던 AI 전문가다. 네이버에서 AI 혁신센터장으로 근무하며 쌓은 경험이 국가 AI 정책으로 구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인선 이유를 말했다.
초대 AI미래기획수석에 꼽힌 네이버클라우드 하정우 AI 혁신센터장은 AI 전문가로 정평이 나 있다. 197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한 하정우 수석은 현재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공동 대표, 네이버 퓨처 AI 센터장, 네이버클라우드 AI 혁신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의 생성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X) 개발에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본지를 비롯해 복수 언론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국가 AI 경쟁력 함양을 위한 전략부터, 한국의 AI 미래 로드맵, 산업 확대 방안 등을 알려왔다. 지난해부터는 국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간담회 등 정부에도 꾸준히 메시지를 전달해 왔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한 AI 스타트업 대표는 “AI미래기획수석에 임명된 후 주변에서는 네이버와 같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국가 AI 정책을 재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마치 학계에 있는 사람이 AI미래기획수석을 맡는다면 아카데믹한 R&D 얘기만 한다는 것과 유사하다”면서 “하지만 근처에서 하정우 수석을 지켜본 결과, 한국공학한림원, 과실연 등 다양한 활동을 했었기에 기업과 정부 사이, 그리고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사이에서 균형감 있게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AI 스타트업 대표는 초대 AI미래기획수석에게 “중견·중소기업이 AI를 도입할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중견·중소기업은 인력과 비용이 없어서 AI를 도입하지 못한다. 이런 부분에서 정책자금과 같은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편성해 주면 좋을 것 같다”면서 “초거대 AI로 AI가 고도화되면서 단순 기술 경쟁력이 아닌 자본에 대한 경쟁력도 필요해진 상황이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가 뒷받침해줄 수 있는 부분들이 있을 것이다”라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