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싱크 넥스트’ 세미나 개최…학습 기술부터 실제 사례까지 조명

데이타솔루션 배복태 대표가 12일 서울 강남구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데이타솔루션 싱크 넥스트’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데이타솔루션 배복태 대표가 12일 서울 강남구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데이타솔루션 싱크 넥스트’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아이티데일리] “이제 인공지능(AI) 도입 여부를 고민할 시점은 지났다. 앞으로는 어떻게 AI를 빠르고 실용적으로 기존 비즈니스와 연결할지, 그 과정에서 어떤 전략이 필요할지 생각해야 할 때다. 데이타솔루션은 하드웨어,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 여러 영역을 아우르는 경험과 기술력으로 고객의 AI 전환을 뒷받침하겠다.”

데이타솔루션 배복태 대표는 12일 서울 강남구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데이타솔루션 싱크 넥스트(Datasolution THINK NEXT)’ 세미나에서 자사 AI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제조·금융·유통 등 다양한 산업의 C-레벨 및 IT 리더를 대상으로 ‘AI-퍼스트’ 전환을 실현할 구체적인 로드맵과 현장 사례를 제시하고자 마련됐다.

배복태 대표가 인사말로 행사의 포문을 열었다. 배 대표는 “수많은 AI 자동화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선 데이터를 연결하고 AI를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얼마나 쉽고 빠르게 AI를 비즈니스에 연결할 수 있는지가 기업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려대학교 허명회 명예교수가 ‘우리들의 학습 방법, 이래도 괜찮은가?’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허명회 명예교수가 ‘우리들의 학습 방법, 이래도 괜찮은가?’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이어 고려대학교 허명회 명예교수가 ‘우리들의 학습 방법, 이래도 괜찮은가?’를 주제로 AI 시대에 걸맞은 학습에 대해 제언했다. 허 교수는 AI 기술 발전을 두고 많은 이들이 업무 프로세스 변화를 고민하는데, 학습에 대해서도 돌아봐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오랜 기간 우리나라 교육은 시험과 성적을 목표로 수많은 문제를 푸는 정형화된 구조에 골몰해 왔다. 하지만 AI가 점점 인간에 버금가는 지능을 갖춰감에 따라 사교육을 위시한 반복학습은 한계를 드러낸다고 허 교수는 꼬집었다.

허명회 교수가 AI에서 주목한 점은 ‘생각의 사슬(Chain of Thought)’이다. AI에 비해 인간은 탐구를 확장하는 창의력에 강점이 있기에, 문제를 단계로 나누고 하나씩 풀어나가며 사고력을 키워갈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생각의 사슬은 일관된 논리적 추론으로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해 답변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허명회 교수는 “급변하는 시대에 반복적인 학습은 더 이상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며 “한두 개 문제를 두고 깊이 생각하며 추상화해 이해할 줄 아는 지적 능력을 함양했는지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데이타솔루션 빅데이터러닝센터 정성원 센터장은 AI 기술사를 돌아보고 이를 토대로 현재 비즈니스에 적용하는 전략을 살펴봤다. 규칙 기반 모델에서 출발한 AI는 머신러닝, 딥러닝을 거쳐 벡터 기반 모델에 기반한 생성형 AI까지 발전했다.

빠른 발전으로 AI에 대한 기대는 커져 가지만 이에 걸맞은 투자수익률(ROI)을 내지 못해 비즈니스 접목에 애먹는 기업이 늘고 있다. 이에 정성원 센터장은 “흔히들 AI 하나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란 환상에 빠진다”며 “작은 문제를 해결하는 AI를 여럿 만들고 이를 조합하는 방향이 현실적인 접근법”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정 센터장은 “데이타솔루션에서는 ‘코리아플러스 스태티스틱스 AI 코치(KoreaPlus Statistics AI Coach)로 IBM SPSS에 생성형 AI를 접목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이날 행사에서는 AI 에이전트, SQL 쿼리 자동화, 검색 증강 생성(RAG) 챗봇 구현 등 AI를 실제 조직 운영에 적용하는 방안과 함께, IBM 왓슨x.ai(watsonx.ai) 기반 거대언어모델(LLM) 중심의 고객 경험 혁신 사례가 소개됐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