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교한 수법으로 피싱 페이지 접속 유도 후 계정 탈취 시도
[아이티데일리] 급여 변동 사항을 확인하라는 내용이 담긴 피싱 메일 공격이 발견돼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안랩(대표 강석균)은 11일 ‘급여 변동’, ‘이메일 수신 실패’ 등 다양한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 사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안랩이 공개한 두 가지 사례에서 공격자는 사용자가 피싱 사이트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해 정보를 탈취했다. 사용자 의심을 피하고자 사이트로 연결되는 첨부파일과 링크(URL)를 메일에 자연스럽게 삽입하고, 정상 웹사이트와 구분하기 어렵게 피싱 페이지를 정교하게 제작했다.
한 공격자는 기업 인사 부서를 빙자해 ‘2025년 6월부터 적용되는 급여 변동 사항을 확인’하라는 내용의 피싱 메일을 유포했다. 메일 본문에는 메일 본문에는 ‘급여 변동 사항을 PDF 파일, 온라인 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문구와 함께 .html 파일을 첨부해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했다.
첨부파일 클릭 시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공식 홈페이지와 유사하게 제작된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된다. 해당 페이지에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자동으로 입력돼 있다. 사용자가 피싱 페이지에 입력한 비밀번호는 공격자의 명령 제어(C2) 서버로 전송되며, 추후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등 추가 공격에 악용될 수 있다.
안랩 측은 “공격자가 특정 기업 홈페이지를 모방한 피싱 사이트를 제작하고 임직원 이메일을 수집하는 등 사전에 계획된 표적 공격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공격자는 ‘귀하의 사서함에 배달되지 않은 이메일 메시지 5개가 있다’라는 내용으로 피싱 메일을 발송했다. ‘전달되지 않은 메시지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라는 문구에 URL을 삽입해 사용자 클릭을 유도했다.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URL을 클릭하면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돼 계정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정보 입력 후에는 피싱 페이지가 사용자 이메일 계정의 정상 도메인 주소로 자동 재연결돼, 사용자가 피싱 피해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다.
안랩에서는 피싱 메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출처 불분명한 메일 속 첨부파일 및 URL 실행 금지 △URL 접속 시 기업 및 서비스의 공식 사이트 주소와 비교 △PC, OS(운영체제), SW, 인터넷 브라우저 등에 대한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백신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계정별 다른 비밀번호 설정 등 기본 보안 수칙을 강조했다.
이번 사례를 분석한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ASEC) 분석팀 이익규 연구원은 “정교한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사용한 계정 탈취 시도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피싱 유형을 숙지하고 기본 보안 수칙은 준수하는 일만으로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