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이패스 플랫폼’ 통해 AI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지원
[아이티데일리] “유아이패스는 지금까지 워크플로 전반에 걸쳐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 이는 업무 효율성 향상으로 이어져 왔으며 지금도 다양한 산업에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만족하지 않고 앞으로 더 나아가려 한다. 이전까지의 자동화 솔루션들을 액트1이라 한다면, 이제는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업무 환경을 재편하는 것이 액트2 목표다.”
10일 유아이패스는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유아이패스 에이전틱 자동화 서밋’을 개최했다. 유아이패스 페이란 하오(Feiran Hao) 부사장은 행사를 통해 ‘에이전틱 자동화를 위한 유아이패스 플랫폼(UiPath Platform for agentic automation)’을 선보이며 이같이 말했다.
페이란 하오 부사장은 발표를 시작하며 AI 에이전트 시장의 상황을 설명했다. 발표에 따르면, 최근 AI가 시장에 줄줄이 출시되는 상황이지만 기업들은 AI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정확하게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기술 부재 혹은 시스템 복잡성 등으로 AI 도입 과정에서 IT팀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경제 압박에 효율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업의 워크플로는 파편화된 경우가 많으며 이에 개별로 AI를 도입하게 되면 비용적 부담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파편화된 시스템이 통합되지 않아 프로세스가 더뎌지거나 통합을 수작업으로 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상황은 기업의 의사결정을 더디게 만들고 혁신을 저해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이패스는 유아이패스 마에스트로를 지원하는 유아이패스 플랫폼을 출시해 서비스 중이다. 유아이패스 마에스트로는 AI 에이전트들을 오케스트레이션 하는 새로운 계층으로, 파편화된 워크플로를 통합해 중장 집중식 감독을 가능케 한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업무 효율성 증가는 물론 워크플로의 인사이트를 제공받고 병목 현상이나 집중되는 분야등 실시간으로 프로레스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사는 유아이패스 플랫폼이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로우코드, 풀코드를 지원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비즈니스 환경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원하는 기능을 복잡한 설정 없이 접목할 수 있는 로우코드 기능이 필수이며 개발 역량을 갖춘 개발자를 위한 풀코드 지원도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유아이패스 페이란 하오 부사장은 “액트2는 AI 에이전트가 어떤 액션을 취하는지가 중요하다. 우리는 워크플로, 사람, AI 에이전트를 어떻게 오케스트레이션 할 지에 중점을 맞추고 있다”며 “액트2에 돌입했다고 액트1 분야가 끝난다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 해오던 자동화 솔루션이 기반이 돼야 AI 에이전트도 잘 접목될 수 있다. 즉 액트1과 액트2 둘 다 고도화해 시장을 주도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