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기술 없이 쉽게 활용 가능한 실전형 AI 인프라 제공 목표
[아이티데일리] 클라우드 전문기업 가비아(대표 김홍국·원종홍)가 인공지능(AI) 플랫폼 스타트업 베슬AI(대표 안재만)와 협력해 ‘가비아 클라우드 AI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이 별도의 복잡한 기술 준비 없이 AI를 도입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인프라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양사는 지난 5월 30일,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의 공동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협력은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 기업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실전형 AI 인프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가비아 관계자는 “그동안 기업 및 기관이 AI 시스템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이 반복돼 왔다”며 “AI 개발에는 다양한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를 조합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인프라와의 호환성 확보나 초기 환경 세팅 과정에서 많은 복잡성과 시행착오를 겪는 경우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고사양 하드웨어와 보안 장비,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확보 등으로 인해 초기 단계부터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지만, 실제로 필요한 AI 서비스의 규모나 수준을 사전에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워 불필요한 지출로 이어지는 사례가 적지 않다. AI 시스템 구축 이후에는 인프라 운영부터 모델 배포·관리까지 대부분의 과정을 자체적으로 감당해야 해 실무 인력의 부담도 상당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양사는 개념검증(PoC) 과정을 선제적으로 진행해 AI 도입 방향을 함께 설계하고, 이후에는 머신러닝 운영(MLOps) 기반의 일관된 개발·운영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비용과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가비아는 공공·민간 시장에서 축적한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 경험과 GPU 기반 자원을 바탕으로, 안정성과 확장성을 갖춘 AI 플랫폼 인프라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 인증을 획득한 인프라 역량을 통해 공공 AI 도입 수요에도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베슬AI는 ML옵스(MLOps) 기반의 개발·운영 환경을 통해 모델 개발부터 배포, 관리까지 전 과정을 지원한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유연하게 설계된 플랫폼을 통해 기업별 요구에 맞는 AI 환경을 제공하며, 대규모 언어모델 운영(LLMOps), 검색증강생성(RAG), 파인튜닝 등 최신 기술과 함께 GPU·모델·에이전트를 통합 관리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역량도 보유하고 있다.
베슬AI 관계자는 “당사는 누구나 쉽고 빠르게 AI 개발 환경을 조성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할 수 있도록 SaaS 형태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인프라 요구에 따라 온프레미스(설치형) 형태로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산업군이나 조직 규모에 관계없이 유연하고 맞춤형 AI 개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점 역시 베슬AI의 특장점”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가비아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 플랫폼 구축을 총괄하고, 베슬AI는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용적 AI 운영체계 구축 및 기술 지원을 담당한다. 양사는 플랫폼 공동 운영과 더불어 공공 및 민간 시장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영업 활동도 함께 전개할 계획이다. 또 ML옵스·LLM옵스 관련 공동 연구 및 실무 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병행할 예정이다.
원종홍 가비아 공동대표는 “AI 특화 인프라를 보유한 가비아와 운영 기술 전문성을 가진 베슬AI의 협력은 공공 AI 생태계 확장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양사의 시너지를 통해 현장에서 성과로 이어지는 AI 플랫폼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