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망분리 규제 완화에 발맞춰 제로 트러스트 수요 공략
[아이티데일리] 소프트캠프(대표 배환국)는 지난달 30일 일본 도쿄에서 ‘소프트캠프 솔루션 데이 2025’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소프트캠프 솔루션 데이는 매해 파트너를 대상으로 보안 시장 트렌드와 업계 이슈를 공유하고, 소프트캠프의 솔루션을 제안해 비즈니스 기회를 견고히 하고자 마련된 행사다. 특히 올해 행사는 일본 시장 내 전략적 거점 확보와 파트너십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일본은 최근 ‘로컬 브레이크 아웃(Local Break Out, LBO)’라 불리는 망분리 규제 완화에 따라 내부망과 인터넷망 간 직접 연결이 가능해졌다. 소프트캠프에서는 이러한 제도 변화에 발맞춰 안전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제로 트러스트 보안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LBO에 대한 안전한 제로 트러스트 실현으로서의 접근: VPN/VDI의 대체로서의 RBI △제로 트러스트 모델로의 이행: 실드게이트(SHIELDGate)를 사용한 편리성·보안·비용 양립을 위해 △파트너와의 공동 성장 로드맵 및 소프트캠프 서포트 포털 소개 등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회사는 각 주제에 따라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웹 격리 보안 원격 접속 서비스 ‘실드게이트’, 클라우드 환경 계정관리 서비스 ‘실드 아이디(SHIELD ID)’ 등을 소개했다.
실드게이트는 원격 브라우저 격리(RBI) 기반 보안 서비스로, 내부망에서 마이크로소프트 365 등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안전히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한다. 실드 아이디는‘IdP(Identity Provider)’ 기반 신원 인증으로 사내에서만 허용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장지 등 외부 환경에서도 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소프트캠프는 국내에서 ‘파트너와 동반 성장’이라는 키워드를 내걸고 정비된 조직을 일본에서도 발표했다. 파트너 통합 지원 창구를 국내외로 통합 일원화하고, 파트너사의 경쟁력 강화와 고객 지원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자체 파트너 전용 포털도 소개했다.
소프트캠프 배환국 대표는 “일본도 한국와 유사한 망분리 완화 흐름에 알맞은 보안 체계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소프트캠프는 실질적 보호와 비용 효율성, 그리고 무엇보다 파트너사의 비즈니스 연속성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제안으로 동반 성장 기회를 찾고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