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분석·설계·코딩·테스트·품질진단 등 수행

AI 코딩 플랫폼 데브온 AI 드리븐 디벨롭먼트 개념도
AI 코딩 플랫폼 데브온 AI 드리븐 디벨롭먼트 개념도

[아이티데일리] LG CNS는 AI 코딩 플랫폼 ‘데브온 AI 드리븐 디벨롭먼트(DevOn AI-Driven Development, 이하 DevOn AIDD)’를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 적용한다고 28일 밝혔다.

LG CNS는 코딩 단계에서만 활용할 수 있었던 AI 코딩 플랫폼을 대폭 고도화해, 분석·설계·코딩·테스트·품질진단에 이르는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서 개발자들의 업무를 혁신하는 ‘AI 프로그래머’로 고도화했다.

시스템 분석 단계에서는 AI 코딩 플랫폼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십·수백만줄의 복잡한 소스코드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로 요약해, 시스템 구조를 빠르게 파악하고 분석하는 시간을 대폭 줄여준다. 설계 단계에서는 개발자가 분석 단계에서 자연어로 요약된 내용에 문장이나 단어를 추가, 수정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코딩 단계에서는 AI가 개발자들의 코딩 업무 편의를 극대화한다. 개발자들은 △과거의 시스템 코드를 현재 버전에 맞는 코드로 변환해주는 ‘코드변환’ △기존 코드의 맥락을 분석해 자동으로 코드를 만들어주는 ‘코드생성’ △코드 작성 과정에서 다음 단계에 작성할 코드를 추천해주는 ‘코드추천’ △시스템 오류를 발생시키거나 보안에 취약한 또는 성능 저하에 원인이 되는 코드 등을 탐지해 자동으로 수정해주는 ‘코드검사’ 등을 활용해 코딩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I 코딩 플랫폼은 개발한 코드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의 효율성도 높여준다. 개발자가 일일이 만들어야 했던 수십, 수백여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각각의 케이스에 맞는 가상 데이터를 활용해 오류 여부를 정밀하게 검증한다.

품질 진단 단계에서는 개발이 완료된 코드가 고객의 요청사항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비교하고 누락된 항목을 감지해 알려준다. 또한 보안 취약점, 버그 발생 등의 코드 품질을 평가해 개선 코드를 제안해준다는 장점도 갖췄다.

특히 개발자들이 만들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생성형 AI가 소스코드 생성부터 테스트, 검증까지 자동으로 수행하는 ‘코딩 에이전트’도 탑재됐다. 테스트와 검증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코딩 에이전트가 자동으로 소스코드를 수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품질의 코딩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LG CNS는 개발자가 명령어만 입력하면 AI가 분석·설계·코딩·테스트·품질진단 전 단계에서 자율적으로 작업을 계획, 수행하는 ‘에이전틱 AI’로 AI 코딩 플랫폼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LG CNS 안현정 어플리케이션아키텍처담당 상무는 “AI 코딩 플랫폼 데브온 AIDD를 통해 고객 시스템의 개발 생산성을 혁신하고, 차별적 고객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