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 대통령. 사진=백악관
트럼프 미 대통령. 사진=백악관

[아이티데일리]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초기 인공지능(AI) 분야에 전력투구할 태세였다. 트럼프는 취임식 다음 날인 1월 21일 오픈AI의 샘 알트먼,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등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AI 인프라에 5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스타게이트 계획을 발표했다.

손 회장은 지난해 12월 트럼프와의 마라라고 회견에서 미국 내 AI 분야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월 파리에서 개최된 세계 AI 정상회의(World AI Summit)에서 J.D. 밴스 부통령은 미국이 앞으로도 "AI 분야의 주도권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난 2일 발표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는 AI 분야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번 관세는 반도체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AI의 대규모 컴퓨팅 처리를 뒷받침하는 데이터센터 구축과 운영 비용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 투자가 활발한 한국도 제한적이긴 하지만 그 영향권에서 온전히 벗어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센터에 필수적인 미국의 수입품 대부분이 이번 상호 관세의 대상이다.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공급망을 연구하는 제이슨 밀러 교수는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빅테크나 AI 전문 개발 업계가 데이터센터에 불가결한 알루미늄 등 소재의 국내 제조를 확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내 생산 전략과도 맞아 떨어진다. 그러나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미국 데이터센터용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는 시스코를 비롯한 미국 기업들이 주로 공급하지만, 이들 기업조차 대부분의 생산 거점을 해외에 두고 있어 상당 부분 대만과 아시아 각국으로부터 들여온다. 이들 시스템을 미국 내에서 제조할 시기는 점칠 수 없는 현실이다.

AI 클라우드 기업들은 이미 경계 태세에 들어갔다. CNBC에 따르면 신규 주식공개(IPO)로 시가총액이 230억 달러에 달했던 코어위브(CoreWeave)는 투자설명서의 위협 요인으로 관세를 적시했다. 트럼프 관세에 대한 미국 내외의 강력한 반발이 있지만, 트럼프는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미국뿐 아니라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초긴장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이미 기술 업계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상호관세는 실리콘밸리의 거대 제조 거점인 중국에 34%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 측도 같은 34%의 보복관세로 응수했다. 반도체는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전자기기나 기타 부품의 공급원인 대만에도 32%의 관세가 부과됐다.

게다가 빅테크들이 중국 의존에서 탈피하기 위해 새로운 제조 기지로 사용된 베트남에는 46%의 관세가 적용됐다. 이는 애플에게도 큰 타격이 된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의 제조원가는 대중 관세만으로 85억 달러나 치솟는다. 애플의 내년 이익이 약 7%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데이터센터 비용은 최대 10% 상승할 수 있다는 예상이다. 최종적으로는 소비자가 그 부담을 짊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이용자들의 생성형 AI 사용료도 덩달아 인상될 것이고, 전체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게 된다.

월스트리트는 트럼프에 대해 노골적인 반기를 드러내고 있다. 불안정한 정책 환경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각종 AI 및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의 투자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로 인해 한국 증시 주가지수가 폭락한 것도 이런 걱정을 반영한 결과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