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싱 메일 발송 및 취약점 악용 우려…설명회 개최, 매뉴얼 배포 등 지원
[아이티데일리] 국가정보원이 국내 드론 업체에 대한 북한 등 국제·국가 배후 해킹조직의 공격 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해 예방을 위한 사이버보안 체계 구축을 권고했다.
국정원은 지난 13~14일 이틀간 인천 항공안전기술원에서 국토교통부와 합동으로 드론 관련 기업, 기관, 협회 등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해커들은 업무 관계자로 위장해 피싱(Phishing) 메일을 보내거나 드론 개발업체가 주로 사용하는 IT 솔루션 내 보안 취약점으로 내부 전산망에 침투해 기술을 훔치려 했다.
해킹 시도는 핵심 기술 유출 등 직접 피해로 이어지지 않았으나, 기업별 자체 사이버보안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이에 국정원은 지난해 12월 방위사업청,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함께 드론 개발업체 대상 사이버보안 관리 실태를 합동 점검했다. 그 결과 보안 시스템 미비, 관리 부실 등 취약점이 다수 확인됐다.
지난 13~14일 열린 설명회에서 국정원은 실태 점검으로 확인한 취약 요인을 공유하고 보안 대책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기업이 보안 체계를 자체 구축할수 있도록 ‘사이버보안 관리 매뉴얼’을 제작·배포했다.
매뉴얼에는 보안규정 마련, 방화벽 도입 방법 등 기본 내용부터 취약점 점검, 보안 설정 방법를 비롯한 실천 수칙 및 보안 점검 체크리스트가 포함됐다.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 김지훈 회장은 “사이버보안 체계 구축에 필수적인 내용들을 매뉴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를 적극 활용하면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보안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드론은 국가 주력 산업인 방산·우수 분야와 깊은 연관이 있어 개발업체가 해킹을 당할 시 국가적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며 “유관기관과 함께 보안대책을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