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보통합센터 입주 위탁 전산장비 관리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 협업 운영

지역클라우드센터 정보자원 내 HW 현황 (단위: 식)
지역클라우드센터 정보자원 내 HW 현황 (단위: 식)

[아이티데일리]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이하 KLID)이 316억 3,252만 원 규모의 ‘2025년 지역클라우드센터 정보자원 통합 유지관리’ 사업을 추진한다.

2025년 지역클라우드센터 정보자원 통합 유지관리 사업은 지역정보통합센터 입주위탁 전산장비의 안정적인 관리와 신규 정보시스템 구축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추진된다. 사업 대상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내 설치·운영 중인 정보자원이다.

사업 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총 2년이다. 2025년 1월 1일~2025년 12월 31일까지 1차년도 사업이, 2026년 1월 1일~2026년 12월 31일까지 2차년도 사업이 진행된다. 또 각각 156억 3,597만 원, 159억 9,655만 원이 할당된다. 일반경쟁입찰(총액)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진행되며, 기술평가 90%, 가격평가 10% 등 비율로 계산된 결괏값을 합산해 고득점 순으로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된다.

2025년 지역클라우드센터 정보자원 통합 유지관리 사업은 크게 △전문 클라우드 운영조직 구성 및 양성 △지역클라우드센터 정보자원 운영/유지관리 통합발주 △서비스 가용성, 연속성 확보 등 장애예방활동 수행 △ISO20000 국제표준 인증심사 및 인증 유지 △ISO20000 기반 ITAM‧ITSM 시스템 운영 및 개선 요구사항 반영 등 5가지에 역점을 두고 추진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차세대 시스템 인프라 전담조직 및 체계를 운영하고 신규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및 DR 센터 계획 수립 시 운영경험 및 기술 검토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화재·지진 등 재해·재난에 대비해 백업·복구 모의훈련과 행정·대민 위탁 서비스 24×365 집중 모니터링, 지역클라우드센터 내 정보자원 상시점검, 구성·성능 진단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ISO 20000 기반 IT 서비스 관리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입고 자산정보 및 변경에 대한 표준화 관리도 병행해야 한다.

현재 KLID 위탁 정보시스템 현황은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지방세정보시스템, 세외수입정보시스템, 주민등록정보시스템, KLID 아카데미, 공공기관 G-포털시스템, 사이버침해대응지원센터, 시군구 행정시스템, 시도행정정보시스템, 원내경영정보시스템 등 총 17개 부서의 29개 정보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정보시스템의 경우 통합지방재정시스템, 지방세정보시스템, 세외수입정보시스템의 HW 총 개수는 748식으로 서버 310식, 저장장치 72식, 네트워크 273식, 보안장비 72식, 기타 21식이다. 상용SW는 시스템SW 23종, DBMS 7종, 보안 7종, 관제·성능 25종, 백업 4종, 기타 1종 등 총 67 종이다.

차세대 주민등록시스템(통합행정)의 경우 서버 19식, 저장장치 17식, 네트워크 10식, 보안장비 77식, 기타 4식 등 총 57식이며, 상용SW는 시스템 SW 4종, WEB 2종, WAS 2종, DBMS 2종, 보안 10종, 관제·성능 10종, 백업 6종 등 총 36종이다.

센터 통합 유지관리의 경우 HW는 총 565식을 관리해야 한다. 서버 241식, 저장장치 60씩, 네트워크 196식, 보안장비 56식, 기타 12식이 포함된다. 상용SW의 경우 시스템SW 28종, WEB 12종, WAS 15종, DBMS 22종, 보안 14종, 관제·성능 66종, 백업 20종, 기타 10종 등 총 187종이다.

한편, KLID는 이번 사업을 통해 레거시, 클라우드 시스템 별 전담 조직체계를 마련하고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또한 국제표준인 ISO20000-2018을 기반으로 프로세스 및 ITSM을 통한 IT 인프라를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대국민 행정정보 제공 등 전자정부 시스템의 안전하고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해 대국민 서비스 품질향상도 꾀한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