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데일리]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를 대통령령으로 75일 연장한 뒤 미국이 틱톡의 지분 최소 50%를 취득해 경영권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 소식은 로이터, CNN 등 주력 매체들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틱톡을 미국으로 넘기려면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 트럼프는 중국이 제안을 거부할 경우 관세 폭탄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는 틱톡 금지 조치 일시 정지는 틱톡과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 중국 정부, 미국 정부와 업계, 사용자들 모두에게 적절한 결정을 내릴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미국이 틱톡과 맺으려는 모든 거래를 중국 정부가 승인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만약 중국 정부가 이 거래를 저지할 경우, 이는 명백히 미국에 대한 적대 행위로 간주될 것이며, 그 경우 미국은 중국에 대해 25%나 30%, 50% 또는 10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했다.
트럼프가 제안한 내용은 미국 내에서의 틱톡 사업부를 중국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지분 50% 이상을 미국 측에 넘기라는 것이다. 결국 경영권을 취득해 미국 회사로 전환한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미국이 틱톡 합작회사를 설립하면 회사 가치는 최대 1조 달러에 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가 제안한 지분 50% 이상 인수의 주체가 미국 정부가 될 것인지, 기업 또는 개인이 될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또는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앱 소유권의 50% 이상을 미국으로 양도하는 것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트럼프의 이번 제안은 1기 재임 시절의 제안보다 세련된 모양새를 보인다. 1기 때 트럼프는 틱톡 미국 사업을 ‘몽땅’ 넘길 것을 주문했었다. 오라클과의 협상이 진정되는 상황에서 임기를 끝내 협상이 진전되지는 않았지만, 틱톡에 대한 트럼프의 자세는 중국에 대한 강경책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반면 이번 제안은 바이트댄스의 소유권도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 경영은 미국에서 책임지겠다는 내용이다.
트럼프의 제안에 대해 중국은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강하게 반발하지는 않았다. 포브스는 중국 외교부가 이에 대해 이에 대해 보다 유연한 자세를 보이면서, 기업의 운영이나 인수 등의 거래에 대해서는 시장의 원칙에 따라 기업이 독자적인 판단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개인화된 콘텐츠 추천 도구'를 수출 통제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틱톡의 알고리즘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이 거래는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중국 당국은 그동안 강제적인 앱 매각은 막겠다고 했었다.
바이트댄스는 트럼프의 제안을 거부할 입장이 아니다. 결국 중국 정부의 의사결정에 달려있는 셈이다. 트럼프 역시 시진핑 주석과의 회담 또는 통화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내 중국을 방문할 것을 검토하지만, 틱톡의 향방은 그 전에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