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디지털서비스 SaaS 계약 규모 약 75억 9천만 원…전년 대비 2배↑
[아이티데일리] 2024년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활용한 공공부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계약이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계약된 SaaS 서비스 규모는 약 75억 9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36억 9천만 원을 기록한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또 SaaS 계약 건수도 137건에서 226건으로 크게 늘었다.
“정부 SaaS 지원책 주효”
이 같은 성과에 대해 업계는 공공부문 SaaS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부 기조가 주효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 수행기관은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으며, 기존 SaaS 서비스의 보급·확산 확대와 더불어 새로운 SaaS 서비스 개발·전환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해 왔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을 비롯, SW 산업계의 SaaS 전환·개발 및 글로벌 진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을 지속적으로 밝혔다.
공공부문 이용 SaaS 확산을 위한 대표적인 사업이 NIA의 디지털서비스 이용확산 지원 사업이다. 행정·공공기관이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 및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자발적으로 직접 계약하고, 도입할 수 있도록 장려한 것이다. 이전까지는 상용SW와 마찬가지로 SaaS도 시스템 통합(SI) 방식으로 도입돼 왔지만, 현재는 디지털서비스몰을 통해 기관과 민간 SaaS 기업이 간소화된 형태로 이용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지난해 발표된 ‘제4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2025~2027)’에 △정보시스템 신규 구축 및 재구축 시 민간 클라우드와 SaaS 이용 우선 검토 △유망 SaaS 선별 및 AI SaaS 개발·고도화·사업화 및 글로벌 진출 지원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의 심사·계약·확산 전주기 프로세스 개선 등의 지원방안이 담긴 만큼, 업계는 공공부문 SaaS의 지속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남은 과제는 중소 SW기업 부담 완화
다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디지털서비스 등록에 필요한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부담 해소와 SaaS 개발 이후 공급 및 관리와 관련한 후속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중소 SW기업들의 의견이다. 공공에 더 많은 SaaS를 공급하려면 중소 SW기업들의 SaaS 전환 걸림돌인 CSAP 인증 기간과 비용 부담을 현행보다는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SW 및 SaaS 업계에 따르면, CSAP 인증 컨설팅에 드는 평균 비용은 약 5,500만 원 정도다. 또 인증 취득 후 매년 사후 평가를 통과해 인증을 갱신해야 한다.
특히 업계에서는 개발 인력도 중요하지만 서비스 전환·개발 이후의 후속 운영 인력 확보가 더 시급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단순히 운영비 지원을 늘리는 것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가 클라우드 전문 인력 양성에도 더욱 힘써야 한다는 설명이다.
SW업계 한 관계자는 “신생 스타트업과 달리, 기존 전통적인 SW기업들이 자사 SW를 SaaS로 전환하는 작업은 서비스를 새로 개발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이들이 보유한 인력 대부분은 클라우드 보다는 레거시 인프라와 구축형 SW에 익숙해 기술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현실이다”라며 “SaaS 전환을 위해 클라우드 전문 인력을 새로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다. 시장에 클라우드 인력 자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전문 인력을 영입해도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잦아 중소기업이 SaaS 개발 역량을 유지하기 어렵다. 공공부문 SaaS 서비스를 늘리기 위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클라우드 전문 인력이 늘어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