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베드록 활용해 ‘AI 대화형 검색 서비스’ 구현
[아이티데일리] 클라우드 전문 기업 솔트웨어(대표 이정근)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와 협력해 한국일보의 생성형 AI 솔루션 구축을 지원했다고 3일 밝혔다.
솔트웨어는 AWS의 생성형 AI 플랫폼인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을 활용해 70년간 축적된 한국일보의 방대한 기사 데이터에 대한 ‘AI 대화형 검색 서비스’를 구축했다. 한국일보는 이미 다양한 AWS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어 아마존 베드록 도입이 유연성과 확장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었다. 한국일보는 이번 AWS 생성형AI 기술 도입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독자에게 향상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WS 컨설팅 파트너인 솔트웨어의 지원으로 한국일보는 아마존 베드록을 성공적으로 도입해 고성능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현했고, AWS 데브크래프트 행사에 참여해 ‘AI 대화형 검색 서비스’ 파일럿을 완성했다. 더불어 ‘AWS AI 데이: 이노베이션’ 해커톤에서 ‘남대문 열렸다’ 팀으로 참가해 ‘AWS 베스트 프랙티스’ 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솔트웨어는 이러한 성과가 한국일보의 선도적인 AI 기술 도입과 자사의 전문적인 지원 역량을 동시에 입증한 것으로, 미디어 산업에서 AWS 생성형 AI 기술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모범 사례라고 평가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일보 클라우드팀 이우영 팀장은 “우리는 생성형 AI를 처음 도입하면서 아마존 베드록을 활용해 생성형 AI 서비스를 런칭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했다. 저비용의 데이터파이프라인 서버리스를 구축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종합 검색은 물론 향후 내부 PDF 신문, 과거 OCR 신문 등 데이터 통합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AI TF 강종구 팀장은 “AWS와 솔트웨어의 관심과 노력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앞으로 이어질 과제를 풀어나가는 데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드린다”며 솔트웨어의 지원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솔트웨어 이정근 대표는 “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AI 도입 사례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AI 분야에 있어서도 솔트웨어의 기술 노하우 및 AWS와 적극적 협력을 통해 고객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솔트웨어는 2003년 설립된 클라우드 및 AI 전문 기업으로, AWS 클라우드 MSP 전문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플랫폼,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LLM ‘핏사피(FitSapie)’를 비롯해 혁신적인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WS 등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하고 있는 솔트웨어는 ‘기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Technology for a Better World)’는 미션 아래, 디지털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IT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