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365 코파일럿, 애저 오픈AI 서비스 등으로 업무 효율성 개선

[아이티데일리] 마이크로소프트(MS)가 국내 고객 및 파트너사의 AI 트랜스포메이션(AX) 혁신 사례를 17일 공개했다.

IDC 2024 AI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과 기관의 생성형 AI 사용률은 지난해 55%에서 올해 75%로 급증했으며, 1달러당 평균 3.7배의 투자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MS는 MS 365 코파일럿, 애저 오픈AI 서비스 등으로 글로벌 고객의 AI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해 왔다. 국내 기업들 역시 MS의 AI 솔루션으로 업무 생산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협업 문화를 촉진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국내 고객 및 파트너사의 AI 트랜스포메이션 혁신 사례를 공개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가 국내 고객 및 파트너사의 AI 트랜스포메이션 혁신 사례를 공개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KT는 MS 365 코파일럿으로 유연하고 효율적인 업무 문화를 구축했다. 임직원들은 코파일럿으로 문서 관리, 데이터 분석, 부서 간 협업에서 개선된 성과를 보였다.

LG유플러스는 MS 365 코파일럿을 시범 도입한 결과, 임직원 85%가 업무 만족도 향상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미팅 관리, 회의록 작성, 이슈 관리 부문에서 효율성 체감이 높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는 코파일럿 도입을 확장할 계획이다.

성균관대학교는 연구 및 학사 업무에 AI 협업 문화를 구축하고자 MS 365 코파일럿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연구 분야의 아이디어 정리와 논문 작성 효율성을 높였으며, 약 800명의 교직원이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본질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애저 오픈AI 서비스로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한 사례도 나타났다. LS ITC는 AI 전문 스타트업 ‘AI3’과 협력해 애저 오픈AI 서비스 기반 생성형 AI 서비스인 ‘LS GPT’를 개발했다. LS그룹 직원들은 필요한 GPT 챗봇을 직접 생성해 업무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SK디스커버리는 애저 오픈AI 서비스 기반 생성형 AI 솔루션을 도입해 생산 현장에서 작업 위험성 평가 기간을 단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사내 홍보팀은 AI를 활용해 기사를 선별하고 검토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70% 줄였으며 재무회계, 마케팅, IT 등의 부서에서도 AI 챗봇으로 업무를 자동화하고 있다.

보안 부문에서는 MS 솔루션으로 위협 대응력을 강화했다. 일례로 CTR 그룹은 ‘MS 센티넬’을 도입해 보안과 유지보수를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고 있다.

SK쉴더스는 ‘MS 디펜더 포 엔드포인트’를 사용한 매니지드 탐지 및 대응 서비스를 개발 및 론칭함으로써 해킹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한국MS 조원우 대표는 “최근 2년간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기업들이 실질적 활용 방안과 성공 사례에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MS는 신뢰할 수 있는 AI 트랜스포메이션 파트너로서, AI 기술의 활용 사례와 상용화 방안을 적극 공유하며 한국 산업 전반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