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EV 배터리 및 자동차 산업 타격 불가피
[아이티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정권 인수팀이 전기차(EV) 및 충전소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중국산 자동차, 부품 및 배터리 소재를 차단하는 조치를 강화하는 전면적인 변화를 권고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지금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이 권고안은 로이터가 처음 보도한 것으로, 미국에서의 EV 전환이 정체되고, 막대한 보조금을 받는 중국산 EV가 우수한 배터리 공급망과 맞물려 계속 급증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트럼프는 선거 운동 기간 동안 화석 연료 자동차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바이든의 EV 전환 정책을 철회하겠다고 공약했다.
권고안에 따르면, 정권 인수팀은 또한 미국에서의 생산을 늘리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모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한 다음, 동맹국과는 개별적으로 면제를 협상할 것도 권고했다.
이러한 권장 사항을 종합해 보면, 중국과 별도로 미국 내 배터리 공급망을 장려하고 신속한 EV 전환을 추진하려던 바이든 행정부 정책과는 현격히 다르다. 인수팀 계획은 충전소 건설과 EV 구매 보조금(세제혜택 포함) 등 EV 가격을 낮추었던 각종 정책 자금을 배터리와 충전을 위한 핵심 광물 확보 등 국가 방위 우선순위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이 제안은 새로운 자동차 정책을 신속하게 이행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정권 인수팀에서 나왔다. 인수팀은 또 소비자들의 EV 구매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7500달러 세액 공제도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정책은 제너럴 모터스(GM)와 현대차를 포함한 많은 기존 자동차 제조업체에게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최근 미국 시장에 다양한 EV를 출시하고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EV 지원을 철폐하면 미국의 주요 EV 판매업체인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의 판매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을 위해 2억 5000만 달러 이상을 지출한 머스크는 보조금을 폐지하면 테슬라보다 다른 경쟁업체에 더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팀은 충전소 건설을 위한 바이든의 75억 달러 투입 계획에서 현재까지 지출하고 남은 자금을 모두 회수하고, 그 자금을 배터리 광물 가공 및 국방 공급망과 중요 인프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인수팀의 권고안은 거의 그대로 실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미국에 진출하고 있는 한국의 배터리와 자동차 업계의 타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LG, SK 등 배터리를 주력 사업으로 이끌고 있는 그룹과 현대기아차로서는 최소한 트럼프 정권 초기의 강한 압박을 견뎌야 할 숙제를 떠안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