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위한 기능 강화…최신 보안 패치 적용
[아이티데일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원장 황종성)은 공공정보화사업 개발 기반인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신규 버전을 공개하고, ‘2024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신규버전 발표회’를 온라인 행사로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표준프레임워크 적용 사례, 신규 버전(ver. 4.3) 소개와 표준 프레임 컨트리뷰션 대회 우수 참여자 시상, 그리고 인공지능(AI) 시대에 표준프레임워크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문가 발표로 구성됐다.
행정안전부가 지원하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매년 최신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신규 버전을 공개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표준프레임워크 컨트리뷰션 행사를 통해 민간 개발자로부터 의견을 받아 신규 버전에 반영 중이다.
이번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신규 버전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환경에 최적화된 실행 환경 제공 △공통 컴포넌트 22종에 범정부 UI/UX 공통 가이드 적용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등 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하고 안정성을 강화했다.
이날 발표회에는 ‘AI 시대에 표준프레임워크의 발전 방향’과 ‘생성형 AI,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활용한 정보시스템 혁신 및 사례’ 등을 주제로 OKKY 허광남 대표와 네이버클라우드 정주환 이사 등 민간 전문가의 발표도 진행됐다.
NIA 황종성 원장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국내 7,200여 개 공공 정보화 사업에 적용됐으며 불가리아, 에콰도르 등 해외 17개국 33개 정보화사업에서 활용되는 등 성과가 있었다”며 “최근 생성형 AI 확산 등 기술 변화에 맞춰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가 AI를 지원하는 기반 기술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