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장비통합에 1627억원 투입…정부안 대비 32억원 감액
[아이티데일리] 행정안전부는 지난 10일 국회 본회의 의결로 2025년도 부처 예산이 72조 839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72조 4,473억 원인 올해 본예산보다 3,634억 원 줄어든 금액이다.
행안부가 국회에 제출했던 예산안과 비교하면 약 32억 원이 감액됐다. 국회 심사 과정에서 디지털서비스개방 19억 원, 경찰국 기본경비 약 1억 원 등이 제외된 결과다.
내년도 예산은 지방교부세 67조 385억 원, 사업비 4조 6,362억 원, 기본경비·인건비 4,092억 원으로 구성된다.
디지털정부 예산은 올해 7,980억 원에서 내년 8,213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정보시스템 인프라 개선과 범정부 인공지능(AI) 활용 기반 구축에 쓰이며 중앙행정기관 등 노후장비 통합에 1,627억 원,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현에 54억 원이 투입된다.
지역경제 예산은 1조 4,300억 원이 편성됐다.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으로 관련 기반시설 조성 등을 지원하고 생활인구 제도를 활성화하는 한편, 빈집 정비를 늘리고 청년 마을을 새로이 조성하는 데 활용된다.
재난안전 분야 예산은 1조 6,681억 원이 배정됐다. 재해위험지역정비 8,803억 원, 사유시설·공공시설 복구 1,200억 원, 지능형 CCTV 관제체계 구축 51억 원 등이 포함됐다. 특히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지자체 CCTV 관제 체계를 AI 기반으로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사회통합 분야는 7,169억 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온기나눔 캠페인 운영에 6억 원, 지방자치 30주년 등 기념 사업에 8억 원, 제주 4.3사건 보상금으로 2,419억 원을 투입해 국민 대통합 가치를 실현하고, 치유와 화해에 기반한 과거사 문제 해결을 지원할 계획이다.
행안부 정영준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국회 심사 과정에서 정부안 대비 예산이 일부 감액됐으나, 국민의 안전과 민생을 위한 정책은 흔들림 없이 추진돼야 한다”며 “2025년 연초부터 필요한 곳에 예산을 신속히 집행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 수립 등 집행 준비를 철저히 하고, 정책 성과를 조기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