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7명 대상 설문조사…피해 예방 위해 강력한 입법 및 정책 요구

[아이티데일리] 국민 10명 중 4명이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진짜와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9일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국민 의견을 집중적으로 공론화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0월 10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 41.9%가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없다고 답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본 응답자는 39%였으며, 악영향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인격적 피해가 48.2%로 가장 높았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주제로 이뤄진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 (사진=디지털공론장 홈페이지 캡처)

응답자 94.5%는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매우 심각함 55.9%, 심각함 38.5%)하다고 답했다. 특히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84.9%에 달했다.

응답자들은 딥페이크 확산 원인으로 법·제도 미비(36.5%)를 지적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강력한 입법 및 정책(57.6%), 정부의 정책으로 ‘범죄자에 대한 처벌강화(36.9%)’를 요구했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기술 발전에 따라 사실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에 국민이 공감하고 있다”며 “신속히 법·제도를 정비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가 딥페이크 가짜뉴스 방지를 위해 연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워터마크를 통한 딥페이크 추적 및 탐지’를 제안한 박지우, 유성모 씨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