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클로바X 기반 앱 상용화 테스트 진행…네이버 서비스에 내재화 목표
[아이티데일리] 네이버(대표 최수연)는 이달 11~12일 양일간 코엑스에서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 24(DAN 24)’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수연 대표는 행사 첫날 키노트 세션에서 지난해 공개한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 트윈XR(TwinXR) 등 회사의 AI 원천기술을 수천만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핵심 서비스에 밀착시키는 계획을 공개했다.
최수연 대표는 이날 “네이버는 지난해 전 세계에서 3번째로 개발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했다. 이후 1년간 사용자, 판매자, 비즈니스 파트너 등을 위한 수십 건의 생성형AI 제품을 테스트한 결과, 현재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최 대표는 “이제 네이버는 사용자와 창작자를 위한 △AI 도구는 물론, 중소기업(SME)과 브랜드사를 위한 △비즈니스 솔루션, 보안과 기술력이 요구되는 △B2B 사업 영역까지 매우 폭넓은 생성형 AI 기술 제품군을 갖췄다. 이제 이 기술들을 실서비스에 밀착시킬 시기”라며 지난 1년을 정리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네이버가 새롭게 선보일 생성형 AI 검색 기능이 공개됐다. 네이버의 생성형 AI 검색은 현재의 통합검색 기술에 AI와 개인화 추천 기술이 합쳐진 형태다.
네이버 통합검색에서 제공될 ‘AI 브리핑’도 첫선을 보였다. ‘AI 브리핑’은 얼마나 좋은 답변을 제공하느냐를 넘어, 얼마나 좋은 출처를 많이 보여주는지에 집중한다.
네이버는 양질의 문서가 부족한 롱테일 키워드나 외국어 키워드에 우선 적용해 나가며 정답을 찾는 니즈부터 관심사 탐색을 위한 니즈까지, 검색 결과를 풍성하게 만들어 사용자 검색 만족도를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중 출시될 ‘AI 브리핑’은 영어, 일본어 등 외국어 검색에도 적용돼, 외국어 사용자들도 새로운 방식의 생성형 AI 검색을 경험할 수 있을 전망이다.
네이버 광고 플랫폼도 AI 기술로 한 차원 더 고도화된다. 네이버는 복잡해진 디지털 광고 환경에 맞춰 새로운 광고 특화 AI 플랫폼인 ‘AD부스트(ADVoost)’를 개발했다.
AD부스트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광고주가 AI를 이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타기팅으로 광고주에게는 최적화된 광고 솔루션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더욱 관련성 높은 광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네이버는 내년 상반기 초개인화된 AI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모바일 앱을 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개인화된 혜택과 상품 추천으로 차별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한편, 네이버의 대표 기술 콘퍼런스인 ‘데뷰(DEVIEW)’ 세션과 크리에이티브 세션도 양일간 열린다. 데뷰 세션에서는 개발자 80여 명이 검색, 쇼핑, 광고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된 AI 기술 등에 대한 42개의 발표를 진행한다.
크리에이티브 세션에서는 생성형 AI 환경에서의 디자인, 마케팅, 브랜딩 관점에서의 고민과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