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테일, 통신, 금융, 제조, 헬스케어, 디지털 인더스트리 등 6개 트랙 구성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 현장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 현장

[아이티데일리] 아마존웹서비스(AWS)가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AWS Industry Week 2024)’를 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주요 산업별 최신 트렌드와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소개하고, AWS 솔루션이 적용된 다양한 산업별 사례와 클라우드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내에서 올해로 5회째를 맞는 이번 AWS 인더스트리 위크에는 3천여 명이 참석하며 문전성시를 이뤘다.

올해 AWS 인더스트리 위크에서는 △리테일 및 소비재 △통신 및 미디어 △금융 및 핀테크 △제조 및 하이테크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 △디지털 인더스트리 등 총 6개 트랙의 발표가 진행됐다. 지난 행사보다 헬스케어, 디지털 인더스트리 2개 트랙이 새롭게 추가 확장돼 더욱 다양한 AWS 클라우드·AI 서비스 사례를 선보였다.

또한 AWS는 행사 첫 시작부터 통합 기조연설이 아닌, 각 트랙별 기조연설을 마련해 각 산업군에 특화된 발표를 진행했다. 리테일 및 소비재는 AWS 서수영 리테일&CPG 시니어 매니저, 통신 및 미디어는 AWS코리아 신재원 TMEGS 리더, 금융 및 핀테크는 AWS코리아 노경훈 FSI 리더, 제조 및 하이테크는 AWS 정승희 엔터프라이즈 제조 영업 팀장,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은 AWS 조민성 공공부문 헬스케어 및 연구 사업개발 총괄, 디지털 인더스트리는 AWS코리아 이현석 GTM 리더가 각각 맡았다.

기조연설 이후에는 총 36개에 달하는 AWS 파트너 및 고객사의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 전시 부스 구성도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 전시 부스 구성도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의 전시 부스도 많은 참가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AWS는 이번 행사 전시를 SaaS 전시존, AWS 인더스트리 부스, AWS 파트너 부스로 구성했다. SaaS 전시존(SaaS on AWS)에는 ▲퀸텟시스템즈 ▲탈렌엑스 ▲디파이너리 ▲잉카엔트웍스 ▲플래티어 그루비 ▲법틀 ▲알서포트 ▲위존 ▲안랩 ▲지란지교소프트 ▲티맥스클라우드 ▲티맥스티베로 등 총 12개사의 SaaS 솔루션 전시가 꾸며졌다.

AWS 인더스트리 부스와 파트너 부스는 리테일 및 소비재, 통신 및 미디어, 제조 및 하이테크, 금융 및 핀테크,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 등 5개 주제를 토대로 AWS가 준비한 데모 부스와 파트너 솔루션 전시 부스로 구성됐다. 파트너 부스에는 리테일 및 소비재 트랙에 ▲웅진 ▲센드버드 ▲솔트웨어, 통신 및 미디어에는 ▲GS네오텍, 제조 및 하이테크 트랙에는 ▲와탭랩스 ▲베스핀글로벌 ▲에이클라우드 ▲한국아이에스비씨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금융 및 핀테크 트랙에는 ▲데이터브릭스 ▲교보DTS ▲메가존클라우드, 헬스케어 및 생명과학 트랙에는 ▲NDS 등 총 13개 기업의 전시로 이뤄졌다.

AWS가 컨택센터 솔루션 아마존 커넥트 데모를 시연했다.
AWS가 컨택센터 솔루션 아마존 커넥트 데모를 시연했다.

AWS는 자사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구현한 각 산업별 특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데모를 진행했다. 먼저 2D 이미지를 3D 홀로그램으로 변환하고 생성형 AI가 사용자와 의사소통하며 쇼핑을 지원하는 솔루션이 소개됐다. 다음으로는 AI를 기반으로 콜센터 업무를 강화하는 AI컨택센터 서비스 ‘아마존 커넥트’와 산업 현장 재해방지 IoT 솔루션 ‘AWS IoT 그린그래스’ 등을 선보였다. 또 주식 분석 및 보험 업무를 지원하는 금융 애플리케이션 3종도 전시됐다.

AWS와 아크릴 로보틱스가 마련한 페인팅 로봇 전시
AWS와 아크릴 로보틱스가 마련한 페인팅 로봇 전시

특히 페인팅 로봇 기술이 큰 주목을 받았다. AWS는 이번 행사에 ‘아트 앤 로보틱스’ 부스를 구성, 캐나다 AI 전문기업 아크릴 로보틱스의 페인팅 로봇이 ‘아마존 세이지메이커’로 머신러닝돼 직접 명화를 그리는 데모를 시연했다. 아크릴 로보틱스 관계자는 “이 페인팅 로봇은 통상적으로 2시간 이내에 그림을 그려낸다. 비교적 간단한 그림은 30분 이내에도 완성시킬 수 있다”며 “이 로봇을 활용해 누구나 저렴한 가격으로 여러 미술 작품들을 집 안에 배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